세입/세출 실시간 파악 .. '재정관리 정보시스템' 9월 가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입 및 세출현황 국유재산 이용실태 등을 실시간(Real time)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재정관리정보시스템"이 오는 9월 본격 가동된다.
11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이 시스템이 가동되면 현재 3~4개월씩 소요되는
세입 및 세출과 정부 결산서 작성, 통합재정수지 분석 등이 1주일 이내에
완료된다.
재정관리정보시스템은 현재의 수작업 대신 세입, 세출관리는 물론 자금,
차관, 물품, 국유재산, 출자, 융자, 국채, 공공자금, 기금, 법령 및 예규
등 14개 항목에 걸친 각종 재정관련 정보를 각 부처, 지방자치단체 등이
수시로 전산입력하면 이를통해 자산, 결산, 채권 채무정보, 통합재정수지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출력받는 것을 주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시스템이 본격 가동되면 특정 부처가 특정 시점에서 예산을 어떻게
얼마만큼 사용하고 있는지를 수시로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예산
사용의 효율성까지 검증이 가능하게 되는 등 재정정책 수립 또는 수정에
상당한 도움을 주게 될 것으로보인다.
특히 국가가 보유중인 국유재산과 국고여유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재정 자체 수입의 증대는 물론 이를 통한 조세부담
경감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또 세입 및 세출과 정부결산서 작성 등에 소요되는 연간 7천여명의 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재경부는 이 시스템의 완벽한 가동을 위해 한국은행 및 국세청, 관세청,
경찰청 등 세입기관과 중앙부처, 국고지원을 받는 지자체, 조달청,
건설교통부, 행정자치부,법무부 등 관련 부처 등과 공동전산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재경부는 국제통화기금(IMF) 체제를 맞아 저성장이 불가피한 반면 고용
안정기금 등 신규 재정지출 요인은 늘어나게 되는 등 다양한 재정수요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신속, 정확한 재정현황 분석자료를 통해
재정정책을 수립하고 국고여유자금 등의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게 돼
지난해말부터 이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고 밝혔다.
<김성택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12일자).
수 있는 "재정관리정보시스템"이 오는 9월 본격 가동된다.
11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이 시스템이 가동되면 현재 3~4개월씩 소요되는
세입 및 세출과 정부 결산서 작성, 통합재정수지 분석 등이 1주일 이내에
완료된다.
재정관리정보시스템은 현재의 수작업 대신 세입, 세출관리는 물론 자금,
차관, 물품, 국유재산, 출자, 융자, 국채, 공공자금, 기금, 법령 및 예규
등 14개 항목에 걸친 각종 재정관련 정보를 각 부처, 지방자치단체 등이
수시로 전산입력하면 이를통해 자산, 결산, 채권 채무정보, 통합재정수지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출력받는 것을 주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시스템이 본격 가동되면 특정 부처가 특정 시점에서 예산을 어떻게
얼마만큼 사용하고 있는지를 수시로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예산
사용의 효율성까지 검증이 가능하게 되는 등 재정정책 수립 또는 수정에
상당한 도움을 주게 될 것으로보인다.
특히 국가가 보유중인 국유재산과 국고여유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재정 자체 수입의 증대는 물론 이를 통한 조세부담
경감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또 세입 및 세출과 정부결산서 작성 등에 소요되는 연간 7천여명의 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재경부는 이 시스템의 완벽한 가동을 위해 한국은행 및 국세청, 관세청,
경찰청 등 세입기관과 중앙부처, 국고지원을 받는 지자체, 조달청,
건설교통부, 행정자치부,법무부 등 관련 부처 등과 공동전산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재경부는 국제통화기금(IMF) 체제를 맞아 저성장이 불가피한 반면 고용
안정기금 등 신규 재정지출 요인은 늘어나게 되는 등 다양한 재정수요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신속, 정확한 재정현황 분석자료를 통해
재정정책을 수립하고 국고여유자금 등의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게 돼
지난해말부터 이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고 밝혔다.
<김성택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1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