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러머니지가 본 '한국의 외채협상'] (하) 가산금리 "진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월21일 뉴욕 파크애비뉴 시티은행 본부에서 외채협상이 시작됐다.
유럽계 은행이 먼저 나서 국채보다는 개별 은행들의 채권에 정부가 보증만
해주는 것으로 하자고 제안했다.
이는 JP모건의 계획을 반대하는 다른 은행들이 제시한 유일한 해결책이었다.
한국측은 개별은행간 채무를 정부보증채로 전환하며 협상에 의해 가격을
산정하자고 주장했다.
자금지원도 필요없고 국채도 발행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반면 JP모건과 그 지지자들은 더치옥션방식을 고수했다.
협의는 더 이뤄지지 않았다.
한국외채협상팀은 1월26일 개별적으로 협상하자고 주장했다.
로즈는 이를 반대했고 23일 모두가 다시 만나자고 제안했다.
한국 은행들이 자발적으로 결정하자는 의견이 제시됐고 유럽계 은행들은
정부보증말고 개별은행들도 협상과정에 참여해야 한다고 나섰다.
결론은 나지 않았으나 뉴욕보다 14시간 빠르고 토요일에 한국의 은행들이
문을 열기에 협상안을 수정할 시간을 벌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한국 외채
협상팀은 금요일 한국으로 돌아왔다.
26일(월요일) 다시 미국으로 가기까지 3일동안 대통령및 대통령 당선자에게
보고하며 수정안을 마련했다.
26일 정부보증문제는 쉽게 해결됐다.
문제는 가격산정방식이었다.
1월말까지 협상을 마무리하자는데는 모두 동의했으나 한국측은 가격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27일과 28일 힘든 협상이 지속됐다.
한국의 은행과 종금사 외채를 1년 2년 3년짜리 정부보증채로 바꾸자는
합의가 마련됐다.
당초 채권은행단은 만기연장시 5~6%포인트의 스프레드를 가산하려고 했다.
그러나 1월에 접어들어 한국의 외환보유고는 IMF가 요구하는 수준까지
높아졌다.
주식및 채권시장이 개방됐고 외국인 투자가 이어져 외환보유고는 1백20억
달러까지 높아졌다.
결국 단기외채를 자유시장가격방식으로 리보(런던은행간 금리)에 3%에서
3.25%포인트의 가산금리를 붙여 만기연장하자는 쪽으로 흘렀다.
1월중 0.5~1%포인트 단위로 유동적으로 움직이던 만기 2001년인 산금채와
수출입은행 채권의 스프레드는 1월 첫 3주만에 5%포인트에서 3%포인트로
낮아졌다.
마침내 외채의 장기연장문제에 돌입했다.
일부 은행은 장기전환에 대해 3~4%포인트의 가산금리를 요구했다.
한국은 이를 거부하고 지난 6개월간 멕시코같은 신흥채무국에 낮은 가산
금리가 적용됐음을 지적하고 1%포인트 근방에서 결정하되 2%포인트를 넘을수
없다고 맞섰다.
채권은행단은 한국은 외환위기에 처해 상황이 다르며 자발적으로 협상을
하는 것이지만 협상에 참석하지 않은 다른 2백여개 채권은행단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8일 한낮에야 합의가 이뤄졌다.
1년 연장의 경우 가산금리는 리보에 2.25%포인트를, 2년 연장은
2.50%포인트, 3년 연장은 2.75%포인트로 하기로 했다.
한국협상팀이 본국과 협의하느라 3시간이 지났고 저녁 8시전에 협상은
마무리됐다.
외채협상의 결과 한국의 신용도는 회복됐다.
핏치IBCA가 2월초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B-에서 BB+로 올렸고 S&P는 2월
18일 B+에서 BB+로 올렸다.
수개월에서 수년까지 질질 끌었던 라틴아메리카 외채협상에 비하면 한국의
외채협상은 그 속도와 협상정도에 있어 두드러졌다.
협상이 끝나고 한국의 한 은행장은 로즈를 만나 무역금융부문도 추가적으로
개방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로즈는 외채협상결과에 대해 한국이 승리를 속단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한국정부와 13개은행이 2백40억달러규모의 단기외채를 만기연장하는데
합의했지만 13개은행은 2백40억달러 외채의 30~40%만 보유하는데 불과했다.
단기외채의 임시연장이 끝나는 3월말까지 2백여개 다른 채권은행과의
개별협상을 벌여야 한다.
3월중순이나 4월초께 외채 만기협상은 정부보증 달러표시 채권형태로
스프레드를 줄이는 쪽으로 진행될 것이다.
만기도 3년 5년 7년으로 각각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만기연장이 제대로 이뤄지더라도 한국은 다음단계로 빨리 진입해야 한다.
먼저 국제 채권시장에 재진입해야 한다.
국회로부터 1백억달러의 국채발행을 승인받았고 90억달러를 발행하려
했으나 단지 10억달러만이 소화됐을 뿐이다.
국채발행은 한국에 대한 IMF의 보고서에 달려 있다.
평화적 정권교체와 경제구조조정에 대한 사회적 합의, 외국인 투자유치기반
조성 등에 대한 평가가 이뤄질 것이다.
<정리=정태웅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13일자).
유럽계 은행이 먼저 나서 국채보다는 개별 은행들의 채권에 정부가 보증만
해주는 것으로 하자고 제안했다.
이는 JP모건의 계획을 반대하는 다른 은행들이 제시한 유일한 해결책이었다.
한국측은 개별은행간 채무를 정부보증채로 전환하며 협상에 의해 가격을
산정하자고 주장했다.
자금지원도 필요없고 국채도 발행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반면 JP모건과 그 지지자들은 더치옥션방식을 고수했다.
협의는 더 이뤄지지 않았다.
한국외채협상팀은 1월26일 개별적으로 협상하자고 주장했다.
로즈는 이를 반대했고 23일 모두가 다시 만나자고 제안했다.
한국 은행들이 자발적으로 결정하자는 의견이 제시됐고 유럽계 은행들은
정부보증말고 개별은행들도 협상과정에 참여해야 한다고 나섰다.
결론은 나지 않았으나 뉴욕보다 14시간 빠르고 토요일에 한국의 은행들이
문을 열기에 협상안을 수정할 시간을 벌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한국 외채
협상팀은 금요일 한국으로 돌아왔다.
26일(월요일) 다시 미국으로 가기까지 3일동안 대통령및 대통령 당선자에게
보고하며 수정안을 마련했다.
26일 정부보증문제는 쉽게 해결됐다.
문제는 가격산정방식이었다.
1월말까지 협상을 마무리하자는데는 모두 동의했으나 한국측은 가격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27일과 28일 힘든 협상이 지속됐다.
한국의 은행과 종금사 외채를 1년 2년 3년짜리 정부보증채로 바꾸자는
합의가 마련됐다.
당초 채권은행단은 만기연장시 5~6%포인트의 스프레드를 가산하려고 했다.
그러나 1월에 접어들어 한국의 외환보유고는 IMF가 요구하는 수준까지
높아졌다.
주식및 채권시장이 개방됐고 외국인 투자가 이어져 외환보유고는 1백20억
달러까지 높아졌다.
결국 단기외채를 자유시장가격방식으로 리보(런던은행간 금리)에 3%에서
3.25%포인트의 가산금리를 붙여 만기연장하자는 쪽으로 흘렀다.
1월중 0.5~1%포인트 단위로 유동적으로 움직이던 만기 2001년인 산금채와
수출입은행 채권의 스프레드는 1월 첫 3주만에 5%포인트에서 3%포인트로
낮아졌다.
마침내 외채의 장기연장문제에 돌입했다.
일부 은행은 장기전환에 대해 3~4%포인트의 가산금리를 요구했다.
한국은 이를 거부하고 지난 6개월간 멕시코같은 신흥채무국에 낮은 가산
금리가 적용됐음을 지적하고 1%포인트 근방에서 결정하되 2%포인트를 넘을수
없다고 맞섰다.
채권은행단은 한국은 외환위기에 처해 상황이 다르며 자발적으로 협상을
하는 것이지만 협상에 참석하지 않은 다른 2백여개 채권은행단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8일 한낮에야 합의가 이뤄졌다.
1년 연장의 경우 가산금리는 리보에 2.25%포인트를, 2년 연장은
2.50%포인트, 3년 연장은 2.75%포인트로 하기로 했다.
한국협상팀이 본국과 협의하느라 3시간이 지났고 저녁 8시전에 협상은
마무리됐다.
외채협상의 결과 한국의 신용도는 회복됐다.
핏치IBCA가 2월초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B-에서 BB+로 올렸고 S&P는 2월
18일 B+에서 BB+로 올렸다.
수개월에서 수년까지 질질 끌었던 라틴아메리카 외채협상에 비하면 한국의
외채협상은 그 속도와 협상정도에 있어 두드러졌다.
협상이 끝나고 한국의 한 은행장은 로즈를 만나 무역금융부문도 추가적으로
개방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로즈는 외채협상결과에 대해 한국이 승리를 속단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한국정부와 13개은행이 2백40억달러규모의 단기외채를 만기연장하는데
합의했지만 13개은행은 2백40억달러 외채의 30~40%만 보유하는데 불과했다.
단기외채의 임시연장이 끝나는 3월말까지 2백여개 다른 채권은행과의
개별협상을 벌여야 한다.
3월중순이나 4월초께 외채 만기협상은 정부보증 달러표시 채권형태로
스프레드를 줄이는 쪽으로 진행될 것이다.
만기도 3년 5년 7년으로 각각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만기연장이 제대로 이뤄지더라도 한국은 다음단계로 빨리 진입해야 한다.
먼저 국제 채권시장에 재진입해야 한다.
국회로부터 1백억달러의 국채발행을 승인받았고 90억달러를 발행하려
했으나 단지 10억달러만이 소화됐을 뿐이다.
국채발행은 한국에 대한 IMF의 보고서에 달려 있다.
평화적 정권교체와 경제구조조정에 대한 사회적 합의, 외국인 투자유치기반
조성 등에 대한 평가가 이뤄질 것이다.
<정리=정태웅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