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김범준 기자 "평일엔 가족들이 가게를 맡고, 주말 이틀만 일하는 알바생을 고용하고 있는데 주휴수당을 주지 않아도 돼 인건비 부담을 확 덜었습니다."2일 서울 노원구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한 사업주는 "단시간 알바를 활용해 인건비 부담을 줄이는 경우가 주변에서도 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2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주15시간 미만 초단시간 취업자(자영업자 포함)는 2024년 174만2000명으로 통계 작성 이래 최다를 기록했다. 주15시간 미만 임금 근로자(자영업자 미포함)도 140만6000명으로 지난해 대비 14만 3000명 급증해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특히 초단시간 임금 근로자수 증가 폭(14만3000명)은 2021년(22만8000명)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이 일자리 쪼개기로 이어지면서 일자리 질이 악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주 15시간 미만 근무하는 초단시간 근로자는 1주 소정 근로시간을 개근하는 경우 지급되는 주휴수당의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 4대 보험 가운데 산재보험을 제외한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의 의무 가입 대상도 아니다. 퇴직금, 휴일수당, 연차휴가 규정도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사업주들의 근로시간 대비 인건비 부담이 확 줄어든다.마찬가지로 주당 근로시간이 36시간 미만인 '단기 근로자' 숫자도 전년 대비 201만5000명 폭증한 881만명을 기록했다. 주40시간을 일하지 못하는 근로자가 그만큼 늘었다는 뜻이다. ‘임시직 근로자’도 477만명으로 전년 대비 15만 4000명 늘어나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정부는 최근 청년 고용률이 점진적으로 올라 2024년에 46.5%로 안정세 보이고 있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시를 인공지능(AI) 실증의 장으로 만들고 AI 인재 1만명 양성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2일 오 시장은 'AI 3대 강국, 우리도 가능합니다'라는 제목의 페이스북 게시글을 통해 "세계 AI 시장 지각변동을 일으킨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는 연구 인력 139명뿐인 작은 기업이 적은 비용으로 이뤄낸 혁신"이라며 "여기서 대한민국의 AI 3대 강국 진입의 희망을 본다"고 했다.그는 "서울시는 진작부터 서울을 AI 실증의 장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하고 시정과 생활 정책에 AI를 접목해 왔다"며 "'AI 인재 1만명 양성'을 실현하겠다"고 했다.이를 위해 오 시장은 "청년취업사관학교를 명실상부한 AI 인재 양성의 핵심 기관으로 업그레이드해 매년 4000명의 인재를 배출할 것"이라며 "시 대학캠퍼스타운 사업과 연계해 서울 소재 각 대학에서도 매년 6000명의 우수한 AI 인재를 길러낼 계획을 구상 중"이라고 했다.또 "서울시 디지털재단도 AI 중심의 기관으로 재탄생해 서울의 AI 도시 비전에 부응할 수 있게 하겠다"고 덧붙였다.마지막으로 오 시장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최선을 다해 기업에 날개를 달고 AI 인재 양성에 모든 힘을 쏟아붓는다면 우리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오 시장은 오는 11일 서울시 국제콘퍼런스 'AI SEOUL 2025'를 열고 AI 중심 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한 시의 구체적인 정책 청사진을 밝힌다는 계획이다.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
MBC 기상캐스터 오요안나를 따돌린 단체대화방 멤버 중 한 명으로 알려진 한 기상캐스터가 지난해 12월 '직장 내 괴롭힘 금지 홍보영상'에 출연했던 사실이 알려져 파장이 일고 있다.2일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퍼진 이 영상은 직장인 스마트폰 원격 강의 내용 중 하나로 최근 만연한 '직장 내 괴롭힘 금지'에 대한 콘텐츠를 담고 있다. 한편 오요안나는 지난해 9월 28세 나이로 사망했다. 이 사건은 석 달이 지나 뒤늦게 알려졌으며 지난달 27일 보도를 통해 그가 특정 기상캐스터 2명에게 직장 내 괴롭힘을 당했다는 내용의 유서도 소개됐다.고인이 된 오요안나의 사망 전 방송 모습에는 손목에 테이핑한 모습도 눈에 띄어 안타까움을 샀다.해당 영상은 지난해 8월 26일과 28일, 29일 방송분으로 알려졌다.논란이 커지자 결국 고용노동부는 MBC 측에 근로기준법에 따라 사건을 조사할 것을 지도했으며, MBC는 진상규명위원회를 결성했다.※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상담전화 ☎109 또는 자살예방SNS상담 "마들랜"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