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시내버스에 자동요금징수기와
폐쇄회로(CCTV)를 설치하려하자 시민단체들이 이는 국민의 혈세를
낭비하는 것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서울시는 19일 2백2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승객이 현금으로 요금을 낼때
자동으로 액수를 산정할수있는 버스자동요금징수기와 CCTV 등을 연내에
모든 시내버스에 설치한다는 당초 방침을 강행키로 확정했다.

서울시의 이같은 방침에 대해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녹색교통 등
시민단체들은 시민들의 혈세를 낭비하면서까지 이들 기계를 설치할 필요가
있느냐며 반발하고 있다.

더욱이 버스내에 CCTV를 설치,운전기사들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겠다는
발상은 운전기사들의 인격을 철저히 짓밟는 행위라고 비난하고 있다.

민만기(34) 녹색교통 기획실장은 "지금 시급한 것은 대중교통버스의
서비스수준을 높이기 위한 행정적 지원인데 그리 급하지도 않은
자동요금징수기도입 등에 턱없이 많은 세금을 낭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김병수(31) 간사도 "시민들의 의사는 아랑곳
하지 않고 자동요금징수기 설치를 통한 안정적인 세원확보에만 주력하고
있다"며 서울시를 비판했다.

서울시는 이에대해 버스요금수입의 투명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해서는
요금자동 징수기의 설치가 필요하다며 방침을 철회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특히 요금자동징수기야말로 지난 96년 버스비리사건이후 생긴
버스업체들에 시민들의 불신을 해소할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서울시는 서둘러 이작업을 마무리짓기 위해 이미 지난 16일까지 9개
업체로부터 제안서를 제출받아 적합한 자동요금징수기 납품업체를
선정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 류성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