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II면톱] 일본 생명보험사, 부동산투자 재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도쿄=김경식 특파원 ]
일본의 대형생명보험회사들이 부동산투자를 재개한다.
"버블"붕괴로 땅값이 크게 떨어져 상업용 빌딩을 개발할 경우 채산을 맞출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일본생명보험은 98년도부터 10년간에 걸쳐 6천억엔을 신규부동산사업에
투입하기로 했다.
일본생명은 1조엔 규모인 연간 자산증가분의 6%정도를 부동산쪽에 돌린다는
방침이다.
신규투자외에 현재 보유중인 건물의 보수 개조 등의 사업에도 해마다
2백억엔을 추가 투입하기로 했다.
일본생명은 이미 지난 2월 도쿄역앞의 구 국철부지를 미쓰비시지쇼와
공동으로 3천8억엔에 낙찰받았다.
일본생명의 경우 90년대 초반부터 신규부동산투자를 사실상 중단하고
채산성이 낮은 물건을 처분했다.
이에따라 총자산중 부동산비율이 95년말 4.5%에서 97년 3월말에 5.1%로
떨어졌다.
메이지생명보험도 98년부터 2001년까지 4년동안 연5백억~6백억엔을
부동산에 투입하기로 했다.
스미토모생명보험과 아사히생명보험도 조건이 맞는 부동산이 있으면 이를
적극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생명보험회사의 97년도말 기준 부동산투자잔고는 9조8천3백억엔으로
전년도에 비해 1.5% 감소했다.
그러나 주식 채권등의 운용수익이 장기간 바닥에 머물고 있는데다 부동산
값도 크게 떨어져있어 부동산투자쪽으로 다시 자금이 몰릴 것으로 보인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24일자).
일본의 대형생명보험회사들이 부동산투자를 재개한다.
"버블"붕괴로 땅값이 크게 떨어져 상업용 빌딩을 개발할 경우 채산을 맞출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일본생명보험은 98년도부터 10년간에 걸쳐 6천억엔을 신규부동산사업에
투입하기로 했다.
일본생명은 1조엔 규모인 연간 자산증가분의 6%정도를 부동산쪽에 돌린다는
방침이다.
신규투자외에 현재 보유중인 건물의 보수 개조 등의 사업에도 해마다
2백억엔을 추가 투입하기로 했다.
일본생명은 이미 지난 2월 도쿄역앞의 구 국철부지를 미쓰비시지쇼와
공동으로 3천8억엔에 낙찰받았다.
일본생명의 경우 90년대 초반부터 신규부동산투자를 사실상 중단하고
채산성이 낮은 물건을 처분했다.
이에따라 총자산중 부동산비율이 95년말 4.5%에서 97년 3월말에 5.1%로
떨어졌다.
메이지생명보험도 98년부터 2001년까지 4년동안 연5백억~6백억엔을
부동산에 투입하기로 했다.
스미토모생명보험과 아사히생명보험도 조건이 맞는 부동산이 있으면 이를
적극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생명보험회사의 97년도말 기준 부동산투자잔고는 9조8천3백억엔으로
전년도에 비해 1.5% 감소했다.
그러나 주식 채권등의 운용수익이 장기간 바닥에 머물고 있는데다 부동산
값도 크게 떨어져있어 부동산투자쪽으로 다시 자금이 몰릴 것으로 보인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