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의 환경경영이 국제통화기금(IMF) 한파로 흔들리고 있다.

기업들이 자금난으로 장.단기 투자를 중단하거나 줄이면서 환경경영에 대한
투자도 위축되고 있다.

이는 ISO 14000인증 획득의 감소로 나타나고 있다.

올들어 2월말까지 국내 기업이 획득한 ISO 14000 인증은 고작 8건.

작년 한햇동안 1백18건을 따낸 것에 비해 크게 줄었다.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일본이 지난 1월말 6백건을 넘어서는 급증세를 보인 반면 국내 기업은
2백여건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국내 기업의 환경투자 위축은 중소기업의 경우 더욱 두드러진다.

ISO14000 인증 기업중 중소기업은 36%에 그치고 있다.

ISO9000 인증의 경우 86%가 중소기업인 것과 대조된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경영체제를 환경중시형으로 바꾸기보다는 정기적으로
환경감사를 받는 전통적인 환경관리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이의 근본적인 원인은 14000 인증을 홍보용으로만 보는 좁은 시각탓이
크다는 지적이다.

물론 ISO14000 인증 획득으로 기업은 고객들에게 자사의 환경보호 의지를
과시할수 있다.

이미지 제고에 좋다는 얘기다.

가격-성능-편의성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경쟁제품과의 차별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인증획득에 따른 환경경영 체제 도입의 진정한 이익은 14001 규격의
서문에 나와 있듯이 "환경과 경영에 모두 도움을 준다"는 점이다.

폐기물을 줄이면 환경보호도 되지만 폐기물처리비도 절감된다.

14000 인증기업인 유한킴벌리의 김천공장은 폐수가 94년에 하루 2만입방m에
달했으나 작년에는 6천5백입방m로 줄었다.

이에따라 하수세를 연간 1억원이상 절감하는 효과를 얻었다.

환경법규 위반에 따른 벌금및 부담금과 배상책임이 수반되는 환경사고가
줄어드는 이익도 얻을수 있다.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공정개선은 원자재와 에너지를 그만큼 절약하는
효과를 낸다.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 원자재 수급난 해소에도 14000인증이 일조할 수
있는 것이다.

무역장벽으로 등장하는 국제적인 환경규제 움직임에 대응할수 있다는 점도
14000 인증이 주는 이득이다.

특히 환경경영이 요구하는 기술개발과 공정개선등은 신제품 개발로 이어져
신시장 개척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14000 인증의 확산을 위해서는 우선 이같은 인증효과에 대한 기업들의
인식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함께 제도적인 보완도 요구되고 있다.

우선 환경부가 시행하는 환경친화기업 제도와의 조정이 시급하다.

이 제도는 각종 인.허가및 검사를 면제하는 혜택을 준다.

기업이 외면하기 어렵다.

그러나 내용은 14000인증과 다를 바 없다.

그럼에도 별개로 운영되고 있다.

기업들은 이중의 수고와 비용을 들이고있는 것이다.

환경경영의 인프라인 청정기술의 개발에도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

국내청정기술은 선진국의 10~20% 수준이라는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공공성이 큰 만큼 정부가 앞장서서 개발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환경경영에 따른 비용효과 분석시스템을 운영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를 통해 환경경영의 이익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이는 최고경영자는 물론 모든 임.직원들의 환경투자에 대한 인식을 전환
하는데 도움을 준다.

환경경영이 뿌리를 내릴수 있도록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수 있다는 얘기다.

< 오광진 기자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4월 1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