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를 수사중인 대검 중수부(이명재 검사장)는 23일 강경식 전부총리
와 김인호 전경제수석의 직무유기 혐의를 입증하기 위해 김영삼 전대통령
조사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검찰관계자는 이날 "IMF 구제금융 신청과정에서 임창렬 전부총리와 김영섭
전경제수석이 김 전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은 내용이 다소 엇갈려 확인이
불가피하다"고 밝혀 김 전대통령에 대한 조사방침을 시사했다.

22일 소환돼 밤샘조사를 받은 임 전부총리는 검찰조사에서 "지난해
11월19일 임명장 수령 및 업무보고 당시 김 전대통령이 IMF(국제통화기금)
구제금융지원 신청을 지시하지 않았다"고 진술했다.

그러나 김영섭 전수석은 "김 전대통령으로부터 임명장을 받을 당시 IMF를
추상적으로 언급하면서 업무인수인계를 철저히 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에따라 윤증현 옛재경원 금융정책실장(현 세무대학장)을 24일
불러 외환위기 대처과정에 대한 조사를 벌인 뒤 곧 강 전부총리와 김인호
전수석을 소환, 업무인수인계 과정을 밝히기로 했다.

검찰은 또 김선홍 전기아그룹회장이 기아사태 이후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
정.관.언론계에 경영권 방어를 위해 로비를 한 혐의를 잡고 곧 소환조사한
뒤 구속키로 했다.

김 전회장은 기아계열사를 통해 과대계상 이중계산 등을 통해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김 전회장과 기아 임직원에 대한 계좌추적에 나서고 있어 구체적인
비자금 규모와 사용처 등이 조만간 밝혀질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전날 김 전회장집 등에서 압수한 장부와 서류에 대한 분류작업이
끝나는대로 이기호 전그룹기조실 사장 등 기아 자금담당 임원을 우선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

<김문권 기자>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4월 2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