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큐리티 산업] 사람보안 적색경보 : (기고) 산업기밀 유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산업기밀 유출 어떻게 막아야 하나 ]
윤은기 < IBS컨설팅그룹 사장 >
세계각국을 대상으로 산업첩보전이 벌어지고 있다.
국가간 산업스파이 사건의 경우 개별기업의 손실을 뛰어넘어 국부의 불법
유출이라는 심각성을 띠게 된다.
세계적인 국가정보기관들이 산업보안업무를 주요업무로 삼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산업스파이에 의한 영업기밀유출을 막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다.
첫째는 통제구역을 설정하거나 전자출입개폐장치를 만들거나 하는 물리적인
대응이다.
두번째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방법.
보안프로그램보안규정 등 보안관리의 소프트요소를 말한다.
그리고 세번째는 보안의식과 보안마인드를 고취시키는 휴면웨어측면이다.
최근 산업스파이활동은 내부정보보유자의 매수를 통해 복사와 도청, 컴퓨터
침투등 첨단기술을 동원해 첨단화되고 있다.
반면 국내기업들의 이에 대한 대책은 폐쇄회로설치 자동개폐장치 등
원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최근에 발생한 반도체 기술 유출사건은 보안의식의 무지가 빚어낸 결과다.
세계적인 산업스파이 사건의 70%이상이 현직 임직원이나 퇴직자들이 연루된
사건이다.
보안교육이 중시되는 이유다.
근무평가기준에 보안의식란을 만들고 각종 사내교육프로그램에 보안교육을
편성해야 한다.
실제 다국적 기업의 경우 진급을 앞두고 특별보안교육을 실시한다.
퇴직자에게도 보안상 문제점이 없는지를 확인한뒤 관련 법규를 주지시키며
보안서약서를 작성토록 하고 있다.
IMF사태를 계기로 국내 기업들도 본격적인 변혁기를 맞고 있다.
구조조정으로 인적자원의 재배치와 감원이 동시에 이뤄지고 있다.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이런 과정에서 직업윤리마저 흔들리고 있다.
개인이 살아남기 위해 산업정보유출 등 스파이 사건이 급증할 여건이
조성되고 있는 셈이다.
기업윤리가 흔들리면 직업윤리도 흔들린다.
세계적인 초일류기업들은 정보사회에 걸맞은 기업윤리 기술력 마케팅능력이
중시되고 있다.
국내 기업들도 변신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기업 구성원들은 보안관리를 특수한 영역으로 여기기보다는 일상업무로
인식해야 한다.
기업의 자산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보안관리를 생활화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받아들일때 세계적인 일류기업으로 거듭날수 있기 때문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4월 29일자 ).
윤은기 < IBS컨설팅그룹 사장 >
세계각국을 대상으로 산업첩보전이 벌어지고 있다.
국가간 산업스파이 사건의 경우 개별기업의 손실을 뛰어넘어 국부의 불법
유출이라는 심각성을 띠게 된다.
세계적인 국가정보기관들이 산업보안업무를 주요업무로 삼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산업스파이에 의한 영업기밀유출을 막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다.
첫째는 통제구역을 설정하거나 전자출입개폐장치를 만들거나 하는 물리적인
대응이다.
두번째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방법.
보안프로그램보안규정 등 보안관리의 소프트요소를 말한다.
그리고 세번째는 보안의식과 보안마인드를 고취시키는 휴면웨어측면이다.
최근 산업스파이활동은 내부정보보유자의 매수를 통해 복사와 도청, 컴퓨터
침투등 첨단기술을 동원해 첨단화되고 있다.
반면 국내기업들의 이에 대한 대책은 폐쇄회로설치 자동개폐장치 등
원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최근에 발생한 반도체 기술 유출사건은 보안의식의 무지가 빚어낸 결과다.
세계적인 산업스파이 사건의 70%이상이 현직 임직원이나 퇴직자들이 연루된
사건이다.
보안교육이 중시되는 이유다.
근무평가기준에 보안의식란을 만들고 각종 사내교육프로그램에 보안교육을
편성해야 한다.
실제 다국적 기업의 경우 진급을 앞두고 특별보안교육을 실시한다.
퇴직자에게도 보안상 문제점이 없는지를 확인한뒤 관련 법규를 주지시키며
보안서약서를 작성토록 하고 있다.
IMF사태를 계기로 국내 기업들도 본격적인 변혁기를 맞고 있다.
구조조정으로 인적자원의 재배치와 감원이 동시에 이뤄지고 있다.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이런 과정에서 직업윤리마저 흔들리고 있다.
개인이 살아남기 위해 산업정보유출 등 스파이 사건이 급증할 여건이
조성되고 있는 셈이다.
기업윤리가 흔들리면 직업윤리도 흔들린다.
세계적인 초일류기업들은 정보사회에 걸맞은 기업윤리 기술력 마케팅능력이
중시되고 있다.
국내 기업들도 변신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기업 구성원들은 보안관리를 특수한 영역으로 여기기보다는 일상업무로
인식해야 한다.
기업의 자산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보안관리를 생활화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받아들일때 세계적인 일류기업으로 거듭날수 있기 때문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4월 2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