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칼럼] IMF탈출 기업 앞세워야 .. 김영만 <회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영만 < 미 한국상공회의소 회장 >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기에 전 세계는 한강의 기적을 이뤄낸 우리 경제를
자본주의 사회의 가장 성공적인 모델이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효율적인 정부, 근면한 근로자, 과감한 투자의욕과 힘찬 추진력을 가진
기업가들, 이들이 한강의 기적을 이룩한 경제 주체로서 높이 평가됐다.
정부 근로자 기업은 삼위일체로 고도 성장이란 배에 동승해 동고동락했다.
그러나 최근 이런 팀워크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
환란이라는 어려움을 겪으면서 서로가 서로에게 책임을 돌리고 있다.
이중에서도 "재벌"로 불리는 대기업들이 오늘의 경제 난국을 초래한
"주범"이나 되는 듯 사회적 비판의 집중 포화를 받고 있다.
저효율 고비용이라는 한국병을 일으킨 장본인이 "재벌"인양 온통 야단
법석이다.
문어발식으로 선단식 경영을 하다 보니 업종 전문화가 돼있지 않고,
선단식 경영을 유지하기 위한 상호 지급보증으로 부채 규모를 엄청나게 높여
놨으며, 그 결과 국제 경쟁력을 잃게돼 오늘의 환란까지 초래했다는 것이다.
고도 성장기에 수출입국에 기여했고, 고용 창출을 주도했으며, 한국을
세계 경제대국의 반열에 올렸던 공로는 전부 잊은 듯 하다.
과연 대기업그룹들의 사업 다각화는 한국에만 있는 현상인지, 그것이
한국의 고도 성장과 무관한 것이었는지 등에 대해 냉정한 검증이 필요한
시점이다.
미국의 경우를 보면 대기업들은 때로는 업종 전문화를, 때로는 사업
다각화를 선택하는 등 시대적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해 왔다.
지난 29년 미국 경제가 대공황에 빠지자 미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은
두세개의 핵심 전략사업에 주력하는 "업종 전문화"로 위기를 돌파했었다.
그러나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유럽과 일본의 경제 복구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이들과의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해진 미국 기업들은 경비 절감과 이익
증대의 필요성이 절박해졌고, 이에 따라 핵심 전문분야 이외의 다른
업종으로 앞다퉈 가지를 뻗쳤다.
특히 미래에 이익 창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기존 사업과 관련이
없더라도 다변화를 주저하지 않았다.
이런 사업 다각화는 대부분 인수.합병을 통해 이뤄졌다.
종전에는 10개 안팎의 계열사를 거느리는 것이 통례로 여겨졌으나
순식간에 50개, 심지어는 70개 이상의 계열사를 갖는 기업까지 생겨났다.
미국의 간판 통신업체였던 ITT의 경우가 대표적 예다.
ITT는 70년대까지만해도 통신 분야에 주력했지만 이후 호텔업, 식빵
제조업, 심지어는 땅콩 농장에까지 손을 대는 등 폭넓은 업종 다변화에
나섰다.
그러나 80년대 중반에 접어 들면서 사정은 또 다시 달라졌다.
세계 경제가 "국경없는 무한 경쟁시대"에 진입하면서 전문화없이는 기업의
존립 자체가 위협받는 상황을 맞게 된 것이다.
미국 기업들은 핵심 전문 분야를 제외한 비관련 사업과 비전문 분야의
사업을 과감히 정리하기 시작한다.
한때 영화 포도주 커피 등의 사업에까지 손댔던 코카콜라는 주력인 콜라를
제외한 모든 사업에서 철수했다.
콜라 단일 업종에 승부를 걸었고, 그 결과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수
있었다.
이처럼 업종의 다각화냐, 전문화냐 하는 것은 기업 경영을 둘러싼 여건과
상황에 따라 시장 원리로 결정되는 것이지 인위적으로 통제할 문제가 아니다.
한국의 고도 성장기에 대기업들은 과감한 사업다변화를 추구했고 이것이
경제성장에 큰 역할을 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대기업들의 업종 다변화가 있었기에 고도 성장과 수출입국이 가능했고,
기술축적과 고용 창출도 이뤄질 수 있었다.
다만 우리 경제의 대외 개방이 늦춰짐에 따라 기업들의 세계화 조류에
대한 합류가 늦어졌고, 이에 따라 업종 전문화도 지연됐던 것이다.
환란으로 불거진 엄청난 대외 부채를 갚는 길은 수출밖에 없다.
국경없는 세계 경쟁에 이기기 위해서 우리는 훈련된 선수(기업)를
싸움터에 내세워야 한다.
우리 국가와 국민이 지난 20년간 집중적으로 키워 온 대표 선수는 누가
뭐래도 대기업이다.
나라 경제가 심각한 고비를 맞았다고 해서 대기업들에 모든 책임을
씌우려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문화 등 나라 구석구석에서 "고비용 저효율"이라는
한국병이 잉태된 만큼, 사회 전체의 결의로 이를 치유하기 전에는 난국을
쉽게 극복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과거의 공과를 들어 서로를 비방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이롭지 못하다.
80년대 미국 경제가 고비를 맞았던 당시 미국인들은 대기업들의 구조조정을
애정과 격려속에 지켜봤고, 미 기업들은 세계 정상의 경쟁력을 되찾는
것으로 화답했다.
지금 우리 경제에 필요한 것도 바로 이런 모습이 아닐까 싶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5월 1일자 ).
한국경제의 고도 성장기에 전 세계는 한강의 기적을 이뤄낸 우리 경제를
자본주의 사회의 가장 성공적인 모델이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효율적인 정부, 근면한 근로자, 과감한 투자의욕과 힘찬 추진력을 가진
기업가들, 이들이 한강의 기적을 이룩한 경제 주체로서 높이 평가됐다.
정부 근로자 기업은 삼위일체로 고도 성장이란 배에 동승해 동고동락했다.
그러나 최근 이런 팀워크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
환란이라는 어려움을 겪으면서 서로가 서로에게 책임을 돌리고 있다.
이중에서도 "재벌"로 불리는 대기업들이 오늘의 경제 난국을 초래한
"주범"이나 되는 듯 사회적 비판의 집중 포화를 받고 있다.
저효율 고비용이라는 한국병을 일으킨 장본인이 "재벌"인양 온통 야단
법석이다.
문어발식으로 선단식 경영을 하다 보니 업종 전문화가 돼있지 않고,
선단식 경영을 유지하기 위한 상호 지급보증으로 부채 규모를 엄청나게 높여
놨으며, 그 결과 국제 경쟁력을 잃게돼 오늘의 환란까지 초래했다는 것이다.
고도 성장기에 수출입국에 기여했고, 고용 창출을 주도했으며, 한국을
세계 경제대국의 반열에 올렸던 공로는 전부 잊은 듯 하다.
과연 대기업그룹들의 사업 다각화는 한국에만 있는 현상인지, 그것이
한국의 고도 성장과 무관한 것이었는지 등에 대해 냉정한 검증이 필요한
시점이다.
미국의 경우를 보면 대기업들은 때로는 업종 전문화를, 때로는 사업
다각화를 선택하는 등 시대적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해 왔다.
지난 29년 미국 경제가 대공황에 빠지자 미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은
두세개의 핵심 전략사업에 주력하는 "업종 전문화"로 위기를 돌파했었다.
그러나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유럽과 일본의 경제 복구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이들과의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해진 미국 기업들은 경비 절감과 이익
증대의 필요성이 절박해졌고, 이에 따라 핵심 전문분야 이외의 다른
업종으로 앞다퉈 가지를 뻗쳤다.
특히 미래에 이익 창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기존 사업과 관련이
없더라도 다변화를 주저하지 않았다.
이런 사업 다각화는 대부분 인수.합병을 통해 이뤄졌다.
종전에는 10개 안팎의 계열사를 거느리는 것이 통례로 여겨졌으나
순식간에 50개, 심지어는 70개 이상의 계열사를 갖는 기업까지 생겨났다.
미국의 간판 통신업체였던 ITT의 경우가 대표적 예다.
ITT는 70년대까지만해도 통신 분야에 주력했지만 이후 호텔업, 식빵
제조업, 심지어는 땅콩 농장에까지 손을 대는 등 폭넓은 업종 다변화에
나섰다.
그러나 80년대 중반에 접어 들면서 사정은 또 다시 달라졌다.
세계 경제가 "국경없는 무한 경쟁시대"에 진입하면서 전문화없이는 기업의
존립 자체가 위협받는 상황을 맞게 된 것이다.
미국 기업들은 핵심 전문 분야를 제외한 비관련 사업과 비전문 분야의
사업을 과감히 정리하기 시작한다.
한때 영화 포도주 커피 등의 사업에까지 손댔던 코카콜라는 주력인 콜라를
제외한 모든 사업에서 철수했다.
콜라 단일 업종에 승부를 걸었고, 그 결과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수
있었다.
이처럼 업종의 다각화냐, 전문화냐 하는 것은 기업 경영을 둘러싼 여건과
상황에 따라 시장 원리로 결정되는 것이지 인위적으로 통제할 문제가 아니다.
한국의 고도 성장기에 대기업들은 과감한 사업다변화를 추구했고 이것이
경제성장에 큰 역할을 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대기업들의 업종 다변화가 있었기에 고도 성장과 수출입국이 가능했고,
기술축적과 고용 창출도 이뤄질 수 있었다.
다만 우리 경제의 대외 개방이 늦춰짐에 따라 기업들의 세계화 조류에
대한 합류가 늦어졌고, 이에 따라 업종 전문화도 지연됐던 것이다.
환란으로 불거진 엄청난 대외 부채를 갚는 길은 수출밖에 없다.
국경없는 세계 경쟁에 이기기 위해서 우리는 훈련된 선수(기업)를
싸움터에 내세워야 한다.
우리 국가와 국민이 지난 20년간 집중적으로 키워 온 대표 선수는 누가
뭐래도 대기업이다.
나라 경제가 심각한 고비를 맞았다고 해서 대기업들에 모든 책임을
씌우려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문화 등 나라 구석구석에서 "고비용 저효율"이라는
한국병이 잉태된 만큼, 사회 전체의 결의로 이를 치유하기 전에는 난국을
쉽게 극복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과거의 공과를 들어 서로를 비방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이롭지 못하다.
80년대 미국 경제가 고비를 맞았던 당시 미국인들은 대기업들의 구조조정을
애정과 격려속에 지켜봤고, 미 기업들은 세계 정상의 경쟁력을 되찾는
것으로 화답했다.
지금 우리 경제에 필요한 것도 바로 이런 모습이 아닐까 싶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5월 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