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자유관광 대상지역"으로 지정한 중국의 조치는 우리의 예상보다
훨씬 빨리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신속한 결단이 돋보인다.

지난 4월2일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에 참석한 김대중 대통령이 주룽지
(주용기) 총리에게 요청한 사안을 신중하기로 소문난 중국정부가 불과
한달여만에 받아들였다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중국측의 설명대로 "한국의 외환위기에 대한 중국의 깊은 관심"을
반영한다고 보아 반갑고 고마운 생각이 앞선다.

이로써 한국은 7번째로 12억 중국인들의 자유관광 대상국가가 된 것이다.

현재 한햇동안 중국을 방문하는 한국인은 약 60만명에 이르고 있는 반면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은 20만명 정도로 심한 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한국을 찾는 중국인이 연간 50만~1백만명 정도로
늘어나고 외화수입도 5억~18억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하니 우리정부와
관광업계가 흥분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최근 수년동안 우리나라는 소득수준의 급상승으로 해외관광이 봇물을 이뤄
막대한 관광수지적자를 면치 못하다가 IMF사태 이후 달러값의 급상승으로
외래관광객은 늘고 해외여행객은 줄어 지난해 11월부터 관광수지가 흑자로
돌아섰다.

이에 고무돼 정부는 올해 4백25만명의 외래관광객을 유치, 20억달러의
흑자를 내고 2002년에는 6백20만명을 유치, 50억달러의 흑자를 구현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관광산업의 최대고객인 일본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어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미래의 성장시장인 중국이 이를 뒷바침해주지 않으면
안될 형편이다.

중국의 이번 조치가 실효를 거두려면 무엇보다도 양국간의 관광진흥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현안을 하루속히 해결하지 않으면 안된다.

중국인 관광객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제주도만 하더라도 지난달 15일부터
무비자 입국이 허용됐지만 제주와 중국을 잇는 정기 항공노선이 개설되지
않을 경우 급격한 관광객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 작년말까지 매듭지을 예정이었으나 중국정부의 불허로 보류돼 있는
한국관광공사 상하이사무소의 지사격상문제를 비롯 몇몇 지사 또는
사무소의 추가 개설 문제도 빠른 시일내에 해결해야 할 과제다.

정부 및 관광공사 차원에서는 물론 업계와 지자체들의 관광객 유치 활동도
강화돼야 한다.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관광상품 및 시설 확대가 시급하며 제3국으로의
이탈방지책도 필요하다.

아직 세부사항에 관한 협의가 남아있긴 하지만 한.중 양국 정부의
전향적인 조치로 이제 중국인의 한국관광 걸림돌은 거의 모두 제거된 셈이다.

이제부터는 우리 관광업계가 하기나름이다.

모처럼의 기회를 과당경쟁으로 헛되이 날려버리지 않으려면 협력에 바탕한
조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번 중국의 호의적인 조치를 계기로 우리의 관광수지가 확고한 흑자기조에
올라서길 기대한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5월 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