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콜라의 인기는 허리가 짤록한 병모양에서 비롯됐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병을 잡을때 여성을 안는듯한 느낌을 준것이 세계적 히트를 치는 기폭제가
됐다는 얘기다.

청량음료는 이처럼 패션성이 강해 용기디자인이 매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맛은 물론이고 먹기 편하고 보기도 좋아야 잘팔린다.

펩시콜라가 올들어 창립 1백주년을 맞아 용기 색깔을 빨간색에서 깨끗한
이미지의 청색으로 바꾼 것도 차세대를 겨냥한 포석이다.

국내에서는 비락식혜가 용기를 바꿔 성공한 대표적 사례다.

93년 선보인 초기제품은 비닐봉지 타입의 파우치에 담아 판매됐다.

그러나 내용물이 낯선데다 불편해 음식점 등에서 후식용으로 팔리는
정도였다.

비락(현재 한국야쿠르트)은 즉시 식혜를 캔용기에 담아 시판하기 시작했다.

결과는 회사 스스로도 깜짝 놀랄 정도의 빅히트였다.

대웅제약이 선보인 스포츠음료 "에너비트"도 포장을 잘해 빛본 음료.

이 회사는 포카리스웨트 게토레이가 버티는 이 시장에서 캔형태의 비슷한
제품을 내놓아봐야 승산이 없다고 판단했다.

그 대안이 비닐봉지에 담아 빨아먹는 타입의 생소한 파우치 용기를 사용,
젊은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해 대성공을 거둔것이다.

이제 맛은 기본.

따라서 멋을 찾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려는 용기마케팅에 대한
인식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5월 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