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이상의 중노년층이 팔에 전기가 찌릿찌릿오는 듯한 마비감을 느끼거나
힘이 점차 약화돼 식사 계단오르기 단추꿰기 등을 제대로 할수 없다면
경추척수증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뇌졸중 파킨슨병 목디스크를 의심하지만 경추(목부위의
척추)부에서 척수가 눌려 발생되는 경추척수증일 확률이 적잖다.

인제대 서울백병원 서정국(정형외과)교수는 "경추척수증은 중추신경계인
척수가 눌리는 것이고 목디스크는 여기서 갈라져 나온 신경근이 디스크
(척추간판)에 눌려 말초신경계에 이상이 나타나는 것이어서 엄연히 구별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1만명당 1명정도는 이 질환으로 고생하고 있을 것"이라며 "다른
질병으로 오인해 엉뚱한 치료를 받아서 못고치는 사람이 많다"고 밝혔다.

이 병의 원인은 경추에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 디스크가 돌출하거나 경추
관절이나 척수 뒤쪽에 놓인 황색인대가 석회화로 두터워지거나 뾰족해져
지나가는 척수를 압박하는 것이다.

척수 앞쪽에 놓인 후방인대가 탄력성을 잃고 딱딱하게 변해도 마찬가지다.

경추척수증의 증상은 손이 저리고 팔다리의 근력이 약화되고 감각이상이
와서 젓가락질조차 힘들다.

계단을 오르내릴 힘마저 상실하고 대소변 기능도 마비된다.

방사선사진으로 좁아진 척추관을 어느 정도 계측할수 있고 자기공명영상촬영
(MRI)을 통해 척수의 눌린 부위와 원인을 확진할 수 있다.

치료는 눌린 부위가 2곳 이하일때는 척추앞쪽으로, 3곳 이상일때는 척추
뒤쪽으로 접근하는 수술을 한다.

척수를 누르는 돌출부를 제거하거나 척추관 뒤쪽의 추궁을 벌려주는
추궁성형술을 시행한후 넓어진 공간이 안정화되도록 인공뼈나 허벅지
장골을 떼어다 메워 이식한다.

수술은 3시간 남짓 걸리고 1~2개월 지나면 정상에 가깝게 회복된다.

서 교수는 "증상이 나타난후 6~12개월이내에 수술을 받아야 회복이 양호
하다"며 "물리치료 약물치료 레이저수술 등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피하는게
좋다"고 말했다.

< 정종호 기자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5월 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