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과 김선홍 전기아그룹회장이 영장실질심사에서 기아사태 책임문제
등으로 치열한 설전을 벌인 사실이 13일 밝혀졌다.

김전회장은 "삼성과 유착된 강경식 전부총리가 기아를 부도유예협약
대상으로 강제지정한데서 기아사태가 출발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부도유예협약은 당사자가 신청하는 것인데 강 전부총리가
특정기업에 넘기기 위해 일방적으로 적용했다"고 지적했다.

검찰은 이에 대해 "김 전회장이 경영발전위원회를 통해 회사돈으로 주식을
사는 등 경영권을 유지하려 함으로써 기아사태가 발생했고 주주에게 막대한
손해를 끼쳤다"고 반박했다.

김 전회장은 그러나 "오너가 없는 기업이 경영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일이었다"고 무죄를 주장했다.

검찰은 환란과 관련 "경영권을 지키기 위해 기아처리를 지연시킴으로써
국가신인도 하락을 가져왔고 결국 경제위기가 왔다"고 김 전회장을 강하게
몰아붙였다.

< 김문권 기자 mkki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5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