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혁신은 기업경쟁의 비교우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기술혁신 기반을 구축하는 산업기술정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최근 유네스코가 발표한 세계정보보고서는 "산업기술정보란 기업의 성공
요인"이라고 했다.

요즘 우리 기업들은 선진국이 개발한 기술을 신속한 입수에 애를 먹고 있다.

하지만 기업은 산업기술정보를 보다 빨리 입수할 정보인프라가 취약하다.

기술자들은 기술개발 활동중 50% 이상을 정보수집과 활용에 들인다.

산업기술정보력이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킨 다는 것을 감안하면, 산업기술
정보 기반을 다지는 일은 시급한 과제다.

국가정보정책은 정보통신과 하드웨어 중심으로 추진되어 이들을 활용,
알맹이를 제공해야 할 정보컨텐트가 경시되었다.

정보컨텐트란 필요한 핵심정보의 내용 그 자체를 전달하기 위한 제반업무를
의미한다.

최근 들어 산업기술정보원의 정보자료열람실에는 기업체와 연구기관 그리고
일반인 방문이 늘고 있다.

그들은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려 전문 정보자료를 탐독하는 한편 컴퓨터를
두드리며 선진국의 기술정보를 찾고 있다.

그들은 모두 양질의 산업기술정보를 입수,아이디어를 얻어 새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러나 국가정보기관이 보유한 정보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그들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현장의 안타까움은 적지 않다.

그동안 정부는 컴퓨터와 정보통신위주의 국가정보정책을 추진, 정작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의 내용이 축적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유사 정보기관난립으로 인해 귀중한 국가 예산이 효율적으로
시용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제부터라도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산업기술정보를 신속히 입수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부는 균형있고 일관된 국가정보정책을 수립, 유사 정보기관의
역량을 한데 모아야 한다.

그렇게함으로써 산업기술정보의 부가가치를 제고 대내외 시너지효과를
거두도록 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국가 산업기술정보의 기반을 단단히 구축, 기업이 필요로 하는
산업기술정보가 원스톱으로 제공될 수 있기를 바란다.

김석영 < 산업기술정보원 정보자료실장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5월 1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