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석회장이 경영일선에서 물러남에 따라앞으로 그룹의 진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회장이 경영일선에서 물러나 백의종군키로 함에 따라 동아는 일단
대외명분을 확보하고 운신의 폭을 넓힌 것으로 볼수 있다.

최근 정부가 이달말까지 회생기업을 선정키로 하면서 최고경영자의
경영권포기여부도 기준으로 고려하겠다고 밝힌바 있어 동아건설이 후한
점수를 받을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최회장의 이임은 이창복신임사장의 취임식이 있은후 곧바로 발표된
점도 채권은행단과 동아그룹간에 회사회생에 대한 논의가 심도있게
진행될 것이란 추측을 낳고 있다.

동아건설 비서실관계자는 "최회장이 아침일찍 채권단에 사임의사를
표명하고 향후 진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말했다.

최회장의 경영포기에 따라 동아는 사실상 채권은행단의 손으로 넘어간
것이나 다름없다.

동아건설 고위관계자는 "새로 선정되는 대표이사등 경영진은 채권은행단이
선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신임대표선임등을 위한 이사회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고 있다.

서울은행은 "동아건설에 대한 자금지원여부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동아가 무너질경우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너무커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동아가 추진중인 5억달러 외자조달의 실현여부가 회생의 키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동아건설만 살리고 나머지 계열사를 해체하는 수순이 유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회장이 사퇴하고 알짜배기계열사인 대한통운까지 매각하겠다고 밝힌
마당에 여타계열사를 지고갈 이유가 없다는 관측이다.

동아엔지니어링은 이미 지난 9일 부도를 낸 바있다.

또 최회장의 사임으로 동아매립지의 용도변경이나 협조융자문제는
다시 뜨거운 논란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동아측은 최회장이 계열사 보유주식의 처분권을 채권은행단에 맡긴데다
경영에서 손을 뗐기 때문에 특혜시비를 해소할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렇게 되면 최회장의 사임은 ''매립지와 맞바꾼 회장자리''가 되는
셈이다.

<>왜 이렇게 됐나 = 동아건설은 한때 현대건설과 쌍벽을 이루던
대형건설업체였다.

그러나 관급공사수주액이 줄어들면서 동아는 재개발등 민간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했고, IMF사태까지 겹쳐 자금이 결정적으로 부족하게 됐다.

동아건설의 차입금은 지난해말 현재 3조2천2백억원이다.

이중 1년이내에 갚아야하는 단기차입금은 71.6%인 2조3천억원.

1년전인 96년에는 전체 부채 2조4천억원중 단기차입금이 1조2천2백억원으로
50%선이었다.

이처럼 단기차입금비중이 높아진 것은 지난 94년부터 재개발사업을
왕성하게 추진했기 때문.

재개발사업은 이주비 조합운영비등 선투자비용이 많아 자금부담이
큰 사업이다.

"땅매입과 이주비지급으로 묶인 자금이 1조원을 넘어 이자비용이 눈덩이
처럼 불어난 것이다"(유성용 동아건설사장).

동아는 신당 4구역 황학4구역등 총 11개지역에서 재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우건설 2건, LG건설 1건, 현대산업개발 4건등에 비해 월등한 규모다.

예상을 빗나간 토지취득도 자금난의 한 원인이 됐다.

97년말 현재 재개발사업을 위해 취득한 토지의 원가는 4천9백68억원으로
96년(2천6백18억원)에 비해 2천3백50억원이나 늘어났다.

이외에 공사미수금등 받지 못한 공사대금이 그룹경영을 크게 악화시켰다.

미수금은 무려 2조3천9백억원으로 매출액의 81%에 달했다.

이는 건설업계 평균인 50.2%보다 크게 높은 것이다.

리비아대수로공사 미수금도 평소 3억달러선에서 최근엔 5억달러로 늘어나
자금부담 압박이 가중됐다.

단기부채증가에 따라 동아건설이 지난해 지급한 이자는 2천9백56억원으로
매출액대비 10%에 달했다.

이는 36개 상장건설사(관리종목 제외)의 매출액대비 평균 금융비용 부담율
7.9%보다 2%포인트 이상 높은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부채의 급격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동아건설의 부채비율은
96년 3백78.5%에서 97년 3백71.9%로 낮아졌다.

이는 환율의 상승으로 해외에 있는 장비등의 자산가치(해외산업환산대)가
4천3백77억원증가함에 따라 자본증가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한편 동아는 최근 두차례에 걸쳐 2천2백억원 1천4백억원등 총 3천6백억원의
채권단 협조융자를 받았다.

그러나 이중 1차 2천2백억원은 제2금융권의 자금을 갚은데 사용됐고
2차 1천4백억원도 물대어음을 갚는데 사용돼 실질유동성의 개선은 전혀
없었다.

< 백광엽 기자 kecorep@ >

< 백광엽 기자 kecorep@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5월 1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