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봉균 청와대 정책기획수석과 김태동 경제수석의 자리바꿈은 두 수석의
성향이 실제업무를 집행하는데 적합치 않다는 여론을 김대중대통령이 수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매일 터지는 금융과 기업구조조정 등의 실물경제를 챙겨야할 경제수석
에는 교수출신보다 실무관료형이 더 낫다는 견해를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경제수석은 직접 경제부처의 현안을 담당해야 하는데다 사안에 따라 즉각적
인 대응을 해야 하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반면 정책기획수석은 장기적인 기획조정기능을 맡는다.

관료들의 기존관념에 얽매이지 않을수 있는 교수출신인 김 수석이 더
적합할수 밖에 없다.

그래서 김 수석이 정책기획을 맡고, 관료출신인 강 수석이 경제수석을
하는게 바람직하다는 견해도 진작부터 제기됐었다.

게다가 청와대내 경제팀에서의 간사역할에도 문제가 있었다.

실무선의 사전조정을 경제수석이 맡고 최종결재단계(경제대책조정회의)를
정책기획수석이 담당했어야 순리다.

그러나 대통령이 주재하는 경제대책조정회의는 김태동 경제수석이 챙겼다.

대신 수시로 열리는 경제장관간담회는 강봉균 정책기획수석이 맡아 왔다.

경제수석과 정책기획수석의 역할이 뒤바뀌었던 셈이다.

이번 교체는 또 경제팀내 좌장격인 이규성 재경부장관과의 팀웍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김 대통령이 이 재경부장관에게 경제팀의 실질적인 사령탑 역할을 맡기면서
강 수석을 협의채널로 등장시킨 것으로 해석할수 있다.

김 수석은 시민단체인 경실련활동을 통해 강도높은 경제개혁을 촉구해
왔다는 점에서 김 대통령의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최근 기업금융구조조정과 관련해 숨가쁘게 돌아가는 경제현안을
즉각 챙기지 못했다는 지적이 많았다.

일부 경제관료들도 김수석의 업무스타일에 거부감을 나타냈다.

지나치게 신중한가 하면 어떨 때는 현실을 너무 앞서 나가는 경향이
강했다는 것이다.

부처간 조율과정도 그다지 매끄럽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새정부들어 잦은 정책혼선이 세인들의 입방아에 오르기도 했다.

김 수석은 이 때문에 최근 김 대통령으로부터도 관료들을 장악하지 못한다
는 질책을 여러차례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상대적으로 정통관료 출신인 강 수석의 깔끔한 일처리는 상당히 돋보였다.

어쨌든 지금처럼 급박한 상황에서 두 수석의 자리바꿈은 불가피한 것으로
관측된다.

인도네시아사태가 언제 한국으로 옮겨 붙을지 모르고 금융과 기업구조조정
이라는 난제를 신속하게 풀어나가야할 상황이다.

그러나 두 수석의 자리바꿈 외에도 금융실무를 챙길수 있는 팀이 보강
되는게 바람직하다는 지적이 많다.

강 수석이 실무관료이기는 하지만 금융과 외환이라는 기술적인 분야에는
전문가들의 도움이 필요할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 김성택 기자 idntt@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5월 1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