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 거대도시병에다 IMF 태풍이 겹친 중증 상태에 놓여 있어 ''서울
전문의''가 시장이 되어야 한다"

국민회의 고건 서울시장 후보는 18일 저녁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토론회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풍부한 행정경험이 있는데다
집권 여당 후보인 저를 시장으로 뽑아달라"며 이같이 말했다.

또 "시장으로 당선되면 행정개혁을 함으로써 서울시 예산 1조6천억원을
절감해 실업대책 재원으로 쓰는 "고건식 뉴딜정책"을 펴겠다"고 덧붙였다.

고 후보는 그러나 차남의 병적 기록 공개요구에 대해 개인의 프라이버시라며
이를 거부했다.

다음은 고 후보와 패널리스트간 일문일답.

-고건식 뉴딜정책은 장미빛 뿐이다.

1백70여만명의 일용근로자의 실상에 대한 대책은 뭔가.

"사무직 전문직 실직자는 단순노동형 공공취로사업에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정보 환경 문화분야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일용근로자들에 대해서는 이미 공공취로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정권이 바뀌어도 중용되는 "변신의 달인"이라는 지적이 있다.

"나는 정치인이 아니라 전문 행정가다.

여러 정부에서 문제가 생겼을때 기꺼이 들어가서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게
마땅한 도리라고 생각한다.

공직자로서 지성 제일주의, 청렴, 민본이라는 소신을 지켜 왔다"

-둘째 아들이 어떤 병으로 군대를 가지 않았는지 명확히 밝혀 달라.

"1차 신검에서 갑종 판정을 받았으나 대학원 재학시절 현대사회적인 병이
발병돼 병원에 입원했다.

그래서 재검을 받아 면제받았다.

지금까지 서울대학병원에 주치의가 있어 치료를 받고 있다.

병명은 부모 입장에서 아들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밝히기 곤란하다"

-시장 재직시절 수서사건에 대해 고 후보는 명확한 입장을 취하지 않아
부하직원들이 난감해 했다.

"수서개발에 대해서는 세차례 걸쳐 불가입장을 밝혔다.

외부 이권이나 청탁문제에 대해서는 취임사를 통해 시청직원들에게 "청탁
받으면 나에게 미루라"고 말했다.

수서사건과 관련해 처벌받은 사람은 외부에서 압력을 넣은 사람들 뿐이다"

-환란책임 공방이 계속되고 있다.

당시 총리로서 책임은 없는가.

"우선 경제정책 결정과정에 총리가 참여하지 못한 것은 오랜 관행이었다.

임창열 전 부총리가 임명장을 받고 난뒤 김영삼 전대통령이 의례적인
격려말을 할때 같이 배석했다.

이때 강 전 부총리에게 빨리 업무 인수인계를 받아서 효과적으로 대처
하라고 했다.

IMF로 가기로 결정했다든지 그런 구체적인 얘기는 없었다.

그럴 자리도 아니었다"

-총리 재직당시 재산이 아직까지 변동이 없는데.

"대학로에 살고 있다.

공시지가가 올라 집값이 10억원이 넘는다.

경기도 임야 6백60평은 가족묘지용 임야다.

80년이후 직책이 없던 6년동안 연금이 나와서 생계유지에는 지장이 없었다"

-김대중 대통령의 제의는 어떻게 받았나.

"서울시장 후보제의는 이번이 두번째다.

지난 93년 당시 김 대통령이 민주당 고문일때도 받았다.

김영삼 전대통령으로부터 집권여당 전국구 의원도 제의 받았다"

-87년 5.16 개각때 내무장관에 취임한뒤 호헌발언을 했고 법무장관과
공동담화문도 발표했다.

"87년 5월26일에는 박종철군 치사사건 때문에 연속으로 내무장관이 두사람
이 물러났다.

나는 이후 57일간 내무장관을 했다.

88년 호헌문제 발언을 한 것은 정부에 몸을 담은 내무장관으로서 정부방침
을 설명했던 것이다.

내심으로는 호헌이냐 개헌이냐 정치적인 결단이 필요한 문제라고 생각했다.

당시 명동성당 장기농성때 청와대측의 무장경찰 투입지시를 세가지 이유를
들어 반대했다"

< 최명수 기자 mesa@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5월 1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