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국회의장단 및 상임위원장 선출 등 후반기 원구성을 위한 임시국회
운영 문제를 놓고 현저한 시각차를 노출, 당분간 정국 파행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원구성 시기를 둘러싼 여야간의 줄다리기는 특히 지방선거 이후에 진행될
여권의 정계개편 전략과도 맞물려 있어 정국이 극도로 경색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한나라당은 국회법상 원구성 시한이 오는 29일인 만큼 관례에 따라 25일
까지 국회의장단을 선출해야 한다며 지난 22일 임시국회 소집요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이에따라 국회본회의 개회여부와 관계없이 제193회 임시국회가 25일부터
30일간의 회기에 들어가게 된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지난 20일 3당 총무회담에서 "지방선거이후 임시국회
소집"에 합의한 만큼 한나라당이 단독으로 소집한 임시국회에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때문에 이번 임시국회는 최소한 지방선거 투표일인 내달 4일까지는 공전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여권은 특히 한나라당의 임시국회 소집요구가 명목상 하반기 원구성을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이신행의원에 대한 검찰수사를 방해하고 이를
지방선거에 악용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나라당측이 회기중 국회의 동의없이는 현역의원을 구속할 수 없다는 점을
악용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또 한나라당이 표적사정이나 인사편중 문제를 집중 추궁할 경우 여권
으로서는 선거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다.

국민회의 한화갑 총무대행은 "개인 비리의 은폐를 위해 정당과 선거를
이용하는 작태는 묵과할 수 없다"면서 임시국회에 불참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자민련도 국민회의와 똑같은 입장이다.

한나라당은 국민회의 자민련측의 이같은 임시국회 불참 방침은 후반기
원구성과 관련한 여권핵심부의 정치적 계산에 따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현재의 의석수대로라면 국회의장을 비롯해 상당수의 핵심 상임위원장들을
한나라당이 차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변화"시킨 후에 여권이 원구성
협상에 임할 것으로 본다는 얘기다.

지방선거가 끝난뒤 곧바로 10여명의 한나라당 의원들이 여권으로 당적을
옮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것은 같도 맥락에서다.

국민회의 한 핵심관계자는 24일 "한나라당의 과반의석이 무너지면 정권을
공동담당하고 있는 쪽에서 국회의장을 맡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경우에
따라서는 국회의장을 선출하는 과정에서 표대결을 벌일 가능성에도 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의 말대로라면 국민회의와 자민련의 의석수(1백32석)를 재적의
과반은 못되더라도 최소한 한나라당 의석수(1백49석)보다는 많도록 하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져 향후 진행될 여권의 "야권의원 빼내기" 움직임이 주목
된다.

< 김삼규 기자 eskei@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5월 2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