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날] 훈/포장 수상자 : 동탑 산업훈장 .. 강정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강정극 < 한국해양연구소 책임연구원 >
세계 7번째로 태평양 공해상에 우리나라 망간단괴 개발광구를 확보했다.
하와이 동남방에 위치한 망간단괴 광구 15만평방km(남한면적 1.5배 크기)를
94년8월2일 유엔으로부터 인가받고 선행투자가 등록국의 지위를 확보하는데
기여했다.
이는 세계 7번째로 우리나라가 태평양공해상에 준해양영토를 개척하는
역사적인 업적이다.
개척된 망간단괴 개발광구는 약 2천4백억달러 가치의 망간 니켈 구리
코발트등 금속자원이 매장돼 있다.
상업생산시 30년이상 국가전략금속의 국내수요를 충당하고 연간 20억달러의
수입대체 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국가경제 및 산업발전의 토대 마련에
크게 기여했다.
심해환경에 대한 해양과학조사 기술개발 및 선진국 수준의 탐사기술 국산화
에도 기여했다.
심해환경에서의 해양과학조사기술과 자원개발을 위한 탐사기술의 연구개발
결과 다중빔을 이용한 3차원적 정밀 해저지형 조사기술및 실시간 심해저면
연속촬영 기술, 자유낙하식 심해저 시료채취 기술 등의 국산화에 성공했다.
이는 일부 선진국에서 보유한 고난도의 심해환경 탐사기술의 완전국산화와
선진국 수준의 기술개발로 우리나라의 해양과학 조사기술을 크게 발전시켰다.
특히 심해저 탐사분야는 세계 10위권의 자원탐사기술 보유국으로 발전
시켰다.
해양자원 연구를 수행하며 총 32편의 논문과 46편의 연구보고서 및 3권의
저서를 국내외에 출판해 우리나라 해양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국내에서는 80년대 중반까지 접근하지 못했던 심해저 망간단괴 및
망간각 등 해양자원 연구에 대한 기술을 자립시켰다.
국제공동연구 활동의 성공적 수행으로 국제사회에 한국 해양과학기술의
위상을 높였다.
청소년들에게 해양개척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데도 공헌했다.
3면이 바다에 접한 해양국가로서 해양개발 및 해양개발기술 확보가 향후
21세기를 대비해 우리가 나아갈 길임을 일찍이 인식하고 해양영토의 역사적
인 공적을 이뤘다.
태평양 공해상에서 배타적.경제적 준해양영토 확보는 우리나라 국민의
자부심과 긍지를 전세계에 과시할 수 있는 성과이며 차세대인 청소년들에게
세계로 향한 개척정신과 무한한 가능성을 일깨워 주는 계기가 됐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5월 30일자 ).
세계 7번째로 태평양 공해상에 우리나라 망간단괴 개발광구를 확보했다.
하와이 동남방에 위치한 망간단괴 광구 15만평방km(남한면적 1.5배 크기)를
94년8월2일 유엔으로부터 인가받고 선행투자가 등록국의 지위를 확보하는데
기여했다.
이는 세계 7번째로 우리나라가 태평양공해상에 준해양영토를 개척하는
역사적인 업적이다.
개척된 망간단괴 개발광구는 약 2천4백억달러 가치의 망간 니켈 구리
코발트등 금속자원이 매장돼 있다.
상업생산시 30년이상 국가전략금속의 국내수요를 충당하고 연간 20억달러의
수입대체 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국가경제 및 산업발전의 토대 마련에
크게 기여했다.
심해환경에 대한 해양과학조사 기술개발 및 선진국 수준의 탐사기술 국산화
에도 기여했다.
심해환경에서의 해양과학조사기술과 자원개발을 위한 탐사기술의 연구개발
결과 다중빔을 이용한 3차원적 정밀 해저지형 조사기술및 실시간 심해저면
연속촬영 기술, 자유낙하식 심해저 시료채취 기술 등의 국산화에 성공했다.
이는 일부 선진국에서 보유한 고난도의 심해환경 탐사기술의 완전국산화와
선진국 수준의 기술개발로 우리나라의 해양과학 조사기술을 크게 발전시켰다.
특히 심해저 탐사분야는 세계 10위권의 자원탐사기술 보유국으로 발전
시켰다.
해양자원 연구를 수행하며 총 32편의 논문과 46편의 연구보고서 및 3권의
저서를 국내외에 출판해 우리나라 해양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국내에서는 80년대 중반까지 접근하지 못했던 심해저 망간단괴 및
망간각 등 해양자원 연구에 대한 기술을 자립시켰다.
국제공동연구 활동의 성공적 수행으로 국제사회에 한국 해양과학기술의
위상을 높였다.
청소년들에게 해양개척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데도 공헌했다.
3면이 바다에 접한 해양국가로서 해양개발 및 해양개발기술 확보가 향후
21세기를 대비해 우리가 나아갈 길임을 일찍이 인식하고 해양영토의 역사적
인 공적을 이뤘다.
태평양 공해상에서 배타적.경제적 준해양영토 확보는 우리나라 국민의
자부심과 긍지를 전세계에 과시할 수 있는 성과이며 차세대인 청소년들에게
세계로 향한 개척정신과 무한한 가능성을 일깨워 주는 계기가 됐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5월 3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