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마니아/베트남 등 외환위기 가능성 커..대우경제연 보고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루마니아 불가리아 베트남은 외환위기 가능성이 매우 높은 국가로 지적됐다.
러시아 폴란드 브라질 이스라엘등은 통화가치가 고평가돼 있어 급격한
평가절하가 우려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우경제연구소는 31일 한국기업이 진출한 37개국의 외환금융위기 가능성을
분석한 "세계경영을 위한 각국별 금융위기 진단"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취약도지수에 따라 37개국을 5개 그룹으로 분류했다.
취약도지수는 통화의 고평가 정도, 환율방어 능력, 대외지불 능력 등
세가지 지표를 바탕으로 산출됐다.
취약도 지수가 18에 가까울수록 외환위기 가능성이 높다.
루마니아 불가리아 베트남 남아공 나이지리아의 취약도지수도 12이상으로
조사됐다.
향후 위기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필리핀 러시아 브라질 페루 폴란드 이스라엘등의 취약도 지수는 10~11로
나타나 평가절하 가능성이 높은 요주의 국가로 분류됐다.
특히 브라질 리알화와 페루의 솔화등 중남미 국가들은 인위적인 환율고평가
정책과 대규모 자본유입으로 평가절하 위험이 높다고 설명했다.
파키스탄 우크라이나 우즈베크 카자흐 등은 외환위기가 상존하는 만성적인
외환부족 국가로 분류됐다.
홍콩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인도 체코 헝가리 등은 취약도지수 8 이하로
환율 안정성이 높은 국가로 분류됐다.
싱가포르 중국 대만은 높은 외환보유고로 환율에 대한 기초체력이 가장
튼튼한 국가로 꼽혔다.
한상춘 대우경제연구소 국제경제팀장은 "급격한 금융위기가 닥치면 통화
가치가 급변, 우리 수출에 막대한 영향을 초래하게 될것"이라며 "환위기
가능성이 높은 국가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 유병연 기자 yooby@ >
[ 국내기업 진출국 통화취약도지수 ]
( 18=매우 취약, 0=매우 건전 )
<>.취약도지수 12~14
- 대상국가 : 나이지리아 남아공 베트남 불가리아 루마니아
- 성격 : 위기발생 가능
<>.취약도지수 9~11
- 대상국가 : 필리핀 스리랑카 터키 러시아 브라질 페루 모로코
슬로바키아 이스라엘 폴란드 알레리
- 성격 : 급격한 평가절하 가능
<>.취약도지수 6~8
- 대상국가 : 홍콩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이집트 튀니지 인도 멕시코
베네수엘라 체코 헝가리
- 성격 : 환율안정
<>.취약도지수 3~5
- 대상국가 : 중국 대만 싱가포르
- 성격 : 매우 안정
<>.기타
- 대상국가 : 미얀마 수단 파키스탄 우크라이나 우즈베크 카자흐
에티오피아
- 성격 : 만성외환부족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1일자 ).
러시아 폴란드 브라질 이스라엘등은 통화가치가 고평가돼 있어 급격한
평가절하가 우려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우경제연구소는 31일 한국기업이 진출한 37개국의 외환금융위기 가능성을
분석한 "세계경영을 위한 각국별 금융위기 진단"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취약도지수에 따라 37개국을 5개 그룹으로 분류했다.
취약도지수는 통화의 고평가 정도, 환율방어 능력, 대외지불 능력 등
세가지 지표를 바탕으로 산출됐다.
취약도 지수가 18에 가까울수록 외환위기 가능성이 높다.
루마니아 불가리아 베트남 남아공 나이지리아의 취약도지수도 12이상으로
조사됐다.
향후 위기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필리핀 러시아 브라질 페루 폴란드 이스라엘등의 취약도 지수는 10~11로
나타나 평가절하 가능성이 높은 요주의 국가로 분류됐다.
특히 브라질 리알화와 페루의 솔화등 중남미 국가들은 인위적인 환율고평가
정책과 대규모 자본유입으로 평가절하 위험이 높다고 설명했다.
파키스탄 우크라이나 우즈베크 카자흐 등은 외환위기가 상존하는 만성적인
외환부족 국가로 분류됐다.
홍콩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인도 체코 헝가리 등은 취약도지수 8 이하로
환율 안정성이 높은 국가로 분류됐다.
싱가포르 중국 대만은 높은 외환보유고로 환율에 대한 기초체력이 가장
튼튼한 국가로 꼽혔다.
한상춘 대우경제연구소 국제경제팀장은 "급격한 금융위기가 닥치면 통화
가치가 급변, 우리 수출에 막대한 영향을 초래하게 될것"이라며 "환위기
가능성이 높은 국가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 유병연 기자 yooby@ >
[ 국내기업 진출국 통화취약도지수 ]
( 18=매우 취약, 0=매우 건전 )
<>.취약도지수 12~14
- 대상국가 : 나이지리아 남아공 베트남 불가리아 루마니아
- 성격 : 위기발생 가능
<>.취약도지수 9~11
- 대상국가 : 필리핀 스리랑카 터키 러시아 브라질 페루 모로코
슬로바키아 이스라엘 폴란드 알레리
- 성격 : 급격한 평가절하 가능
<>.취약도지수 6~8
- 대상국가 : 홍콩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이집트 튀니지 인도 멕시코
베네수엘라 체코 헝가리
- 성격 : 환율안정
<>.취약도지수 3~5
- 대상국가 : 중국 대만 싱가포르
- 성격 : 매우 안정
<>.기타
- 대상국가 : 미얀마 수단 파키스탄 우크라이나 우즈베크 카자흐
에티오피아
- 성격 : 만성외환부족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