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외환은행 주식을 앞으로 2~3년간 그대로 보유하고 매각할 경우
독일 코메르츠은행에도 다른 외국금융기관들과 똑같은 기회를 줄 방침이다.

금융감독위원회 윤원배 부위원장은 1일 "외환은행의 증자에 참여키로 한
독일 코메르츠은행은 최대주주인 정부에 대해 보유지분을 최소한 2~3년간
그대로 보유하고 매각할 경우에도 우선권을 줄 것을 요구했다"며 이에대해
정부는 이같은 방침을 세웠다고 밝혔다.

이는 앞으로 외환은행 주식을 매각할 때 제일 서울은행 매각방식과 동일한
"국제입찰" 방식을 택할 것임을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윤 부위원장은 "코메르츠은행으로부터 자본을 유치하기 위해 정부정책을
바꿀 수는 없다"며 "공평한 기회를 주기로 한 것은 일종의 신사협정인 만큼
지킬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코메르츠은행은 미국계 금융기관 등이 외환은행의 정부지분을 인수, 대주주
가 되는 상황을 우려해 정부보유지분 우선매입조건 등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부위원장도 "코메르츠은행이 매입우선권을 달라고 한 것은 2대주주로서의
영향력을 잃지 않으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또 코메르츠은행이 2천원대인 주식을 액면가인 5천원에 사기로 한
것과 관련, "현실적으로 사는 과정에서 값이 오르므로 시장에서 사는게
어렵고 합작 후엔 주가가 오를 것이란 확신도 있었을 것"이라며 "미국계
금융기관들이 값을 깎는데 열중하는데 비해 유럽쪽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고 말했다.

윤 부위원장은 외환은행이 코메르츠은행과 합작한 뒤 다시 다른 은행과
합병을 추진할 가능성에 대해 "코메르츠은행과 협의를 거쳐 그렇게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외환은행은 현재 정부측이 지분의 47.88%를 가진 최대주주이며 증자가
이뤄져도 그 비율이 33.62%로 코메르츠은행의 29.7%보다 높다.

한편 외환은행 홍세표행장과 코메르츠은행 마르틴 콜하우젠 회장, 위르겐
레머 전무 등은 오는 4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상견례를 갖고 앞으로의 경영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 허귀식 기자 window@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