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비료회사인 남해화학의 민영화를 놓고 정부와 농협간에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박태영 산업자원부장관이 최근 "남해화학은 공개입찰을 통해 제3자에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밝힌데다 외국기업도 환영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지자 농협이 발끈하고 있다.

농협측은 "오는 9일 기획예산위원회의 공기업 민영화공청회에 앞서 정부가
미리 방침을 흘린게 아니냐"면서 "식량안보 차원에서도 남해화학을 외국기업
에 넘긴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애당초 세계무역기구(WTO) 체제에서 비료수급 안정에 필수적인 남해화학을
농협이 인수토록 결정한 정부방침을 지키라는 얘기다.

농민단체들은 "국내 비료시장의 64%를 점유하고 있는 남해화학을 외국기업
에 넘길 경우 비료의 안정적인 공급이나 통일에 대비한 대북비료공급 등이
제대로 이뤄질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농협도 외자유치를 최우선과제로 삼고 있는 정부 분위기로 볼때 공개입찰을
통해 남해화학을 외국기업에 파는 쪽으로 가닥을 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의심하고 있다.

IMF체제 이전까지 농협은 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남해화학 주식 45%
(3백27만5천5백28주)를 사들이는 방식으로 남해화학인수를 추진해 왔다.

당시 농협은 인수가격을 2천억원(감정가격 기준)으로 제시했으나 정부는
경영권프리미엄까지 계산, 4천5백억원을 요구해 결론을 내지 못했다.

남해화학은 60만평의 부지에 연간 비료 2백만t, 화학제품 2백40t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총자산 4천5백42억원, 매출액 4천28억원(농업용비료 1천6백37억원)으로
정부가 45%, 농협이 25%, 우리사주및 소액주주가 30%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다.

< 이동우 기자 leed@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