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TV 프로그램에 출연해 얼굴을 알린 최현석 셰프가 설 연휴 둘째날인 26일 떡국 나눔 행사에 나섰다.연합뉴스에 따르면 최 셰프는 이날 서울 용산구 동자동 서울역 쪽방촌에서 서울시립 서울역쪽방상담소와 떡국 나눔 행사를 준비했다.최 셰프와 보조 셰프들, 상담소 직원 등은 이른 시간부터 주민 200명에게 대접할 떡국을 준비했다. 인근 가게에서 애호박전, 동그랑땡 등 함께 곁들일 음식도 마련했다.최 셰프는 "먹는 것으로 먹고사는 사람이라 먹는 것으로 나눠야 한다는 생각"이라며 "명절 때 손주나 아들이 찾아온 느낌으로 기분 좋아하셨으면 좋겠다"고 했다.배식 시간인 오전 11시를 전후로 상담소 주차장은 쪽방 주민들로 가득 찼다. 한 주민은 최 셰프를 찾아가 "이 어려운 동네에 오셔서 명절날 쉬지도 못하고…"라면서 감사 인사를 전했다.백광헌(68)씨는 "다들 10∼20년 쪽방에서 살다 보니 우울증도 앓고 서로 소통하는 것도 멀리한다"며 "오랜만에 북적이니 행복함을 이루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홍이(62)씨는 "원래 같으면 집에서 라면을 끓여 먹든가 찬밥을 먹으면서 한 끼를 때운다"며 "명절에 떡국 먹기가 힘든데 덕분에 오늘은 따뜻한 한 끼를 먹었다"고 했다.배식을 마친 최 셰프와 상담소 직원들은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에게 떡국을 직접 배달하기도 했다.가파른 계단을 한참 올라 도착한 쪽방 건물 2층에 사는 국가유공자 이복기(82)씨는 떡국을 받아들고는 연신 고맙다고 인사했다.1965년 1월 베트남 전쟁에 파병돼 1년 6개월 동안 전장에 있었다는 이씨는 과거 대구에서 사업을 하다 실패한 뒤 상경해 이곳에서 20여년을 머물렀다고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26일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기한 만료를 앞두고 사건 처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한 전국 검사장 회의가 3시간여 만에 종료됐다.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특수본)를 지휘하는 박세현 서울고검장은 윤 대통령의 구속기소 여부에 대해 "검찰총장이 최종 결정할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박 고검장은 회의를 마치고 취재진과 만나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회의에서 어떤 논의가 오갔는지 묻는 질문에 "수사 경과나 증거관계를 쭉 설명하고, 어떻게 할지 다양한 의견들을 논의했다"며 "최종 결정은 총장이 다 들어보고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윤 대통령을 석방한 뒤에 수사를 이어간다는 의견도 있었는지에 대해선 "다양한 의견이 나와 거기에 대한 논의가 다 있었다"고 부연했다.대검찰청에 따르면 검찰은 윤 대통령 사건 처리와 관련해 이날 오전 10시부터 심우정 검찰총장 주재로 대검 차장 및 부장, 전국 고·지검장이 참여하는 회의를 열었다.검찰은 윤 대통령의 구속영장 기간 만료일을 27일로 보고 있다. 앞서 23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부터 사건을 넘겨받은 검찰은 서울중앙지법에 윤 대통령의 구속기한 연장을 두 차례 신청했으나 모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이에 따라 검찰은 윤 대통령에 대한 조사 없이 27일 전에 내란 및 직권남용 혐의로 윤 대통령을 구속기소 할 것으로 전망된다. 만약 검찰이 구속기소 하지 않는다면 윤 대통령은 구속영장 기간 만료 즉시 석방된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전국 사립대학 총장 10명 중 8명은 올해 등록금 인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서울 주요 사립대의 등록금 인상은 현실화되고 있다. 서강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등에 이어 지난 24일 연세대가 등록금 4.98%를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교육부 출입기자단이 지난 22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정기총회에 참석한 전국 4년제 대학 총장 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67.9%(57명)가 등록금 인상을 제안하거나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립대를 제외하면 그 비율은 더 높아진다. 설문에 참여한 61명의 사립대 총장 중 52명(85.2%)이 등록금 인상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대학들은 2009년부터 이어져 온 ‘등록금 동결’ 기조로 대학의 재정 상황이 한계에 이르렀다고 판단하고 있다. 염재호 태재대 총장은 이 자리에서 “교육부와 정치권이 유치원보다 못한 등록금으로 대학을 붙들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서울대를 포함한 국립거점대 10곳이 정부 요청에 못 이겨 등록금 동결을 결정했지만, 이들도 상황이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비가 새고 화장실 문짝이 떨어져도 다 수리해줄 수 없는 정도”라고 호소했다. 매년 반복되는 등록금 논란을 풀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으로는&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