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대통령 미국방문] 뉴욕증권거래소 방문/교포리셉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방미중인 김대중 대통령은 8일(이하 한국시간) 저녁 뉴욕증권거래소
조찬연설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세일즈 외교활동에 들어갔다.
김 대통령의 이날 뉴욕증권거래소 연설은 미국 방문에서 펼칠 경제외교의
기본전략을 함축하고 있어 주목받았다.
김 대통령은 우선 지난 30년간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을 소홀히
해온 한국경제의 과거 반성으로부터 출발했다.
"한국경제는 한때 개발도상국들에 모범이 되었으나 지금은 사상누각에
불과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고 평가했다.
김 대통령은 그러나 한국은 이제 "아시아적 가치"를 부정하고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을 꾀해 재도약 할 수 있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김 대통령은 아시아국가의 경제위기는 기업과 금융기관의 "도덕적 해이"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나 한국은 국민의 정부 출범이후 정경유착이나 관치금융 등으로 인한
도덕적 해이를 조장했던 권위주의 체제를 극복, 새롭게 출발했다고 강조했다.
김 대통령은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발벗고 나섰다.
김대통령은 연설에서 외국인 주식투자한도를 폐지하고 국내기업에 대한
공격적 기업인수합병(M&A)을 허용하는 등의 투자환경개선 내용을 설명하는데
주력했다.
외국인들의 직접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외국인 투자지역을 지정하여
세제감면 등의 혜택을 주는 등 인센티브 내용도 소개했다.
<>.김 대통령은 8일 밤 뉴욕증권거래소 조찬 연설에 이어 개장 타종식을
거행.
그라소 뉴욕증권거래소이사장은 김 대통령의 연설전 "김대통령이 3년전
이곳을 방문했을 때 다우존스 지수가 4천3백선이었는데 지금은 9천이
넘었다"며 "3년후 다시 이곳을 방문하면 또 다시 지수가 배로 뛸것"이라고
환영.
참석자들은 김 대통령의 연설이 끝나자 "한국에 투자할 준비가 돼있다"는
우호적인 반응.
그라소 이사장은 이날 김 대통령과 환담에서 "한국의 외환정책이 성공적"
이라며 "한국에 대해 도울 준비가 돼있다"고 언급.
김 대통령은 연설후 거래소 관계자들과 객장 2층으로 이동, 오전 9시30분
벨을 눌러 개장을 알렸다.
이날 뉴욕증시는 김 대통령의 타종식이후 다행히 지수가 10시 10분현재
38.6포인트 뛰는 등 좋은 분위기로 출발.
<>.김 대통령은 미국방문 이틀째인 8일 오전 "지방선거에서 여당입장이
안정돼 정치적으로도 자신이 생겼다"며 "귀국후 실업대책과 금융 및 기업
개혁, 중소기업 활성화 대책 마련에 진력하겠다"고 다짐.
김 대통령은 이날 뉴욕인근 뉴저지주의 한 음식점에서 현지 동포를 위한
리셉션에서 이같이 말하고 우리나라의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해외동포들이
적극 노력해줄 것을 당부.
김 대통령은 "주식 한 주 없는 정부가 은행장을 임명하는 것은 상법 위반"
이라며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병행 발전시키는 것은 기본을 바로 잡는 것"
이라고 설명.
김 대통령은 이어 세계 3대 박물관중 하나인 메트로폴리탄 박물관내
한국전시실 개관식에 참석, "한.미 양국은 정치.군사.경제적으로 어느 나라
보다 가까운 관계에 있다"며 "이제 문화적인 관계를 그에 못지 않게 긴밀히
할 시기가 찾아왔다"고 강조.
김 대통령은 또 "한국은 이미 "아시아에서는 민주주의가 어울리지 않는다"
는 편견을 깨고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동전의 양면같이, 또 수레의 양바퀴
같이 서로 분리될 수 없다는 신념아래 경제적 개혁에 전념하고 있다"고 소개.
이에앞서 김 대통령은 일요일을 맞아 성 패트릭성당 미사에 참석한뒤 존
오코너 추기경과 환담.
<>.김 대통령은 이날 한국일보 창간 44주년을 맞아 뉴욕현지에서 기자회견
을 갖고 "앞으로의 정계 개편은 지역적인 지지기반을 확대시킬 수 있는 방향
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해 영남지역과의 연합을 통한 정계개편 가능성을
시사.
김 대통령은 "그러나 자민련과의 대선 당시 공약은 반드시 지켜 나갈 것"
이라고 강조.
선거구 문제와 관련, 김 대통령은 "선거구와 지역주의는 관계가 없다"고
전제하고 "중선거구제는 정치적 파벌형성과 분열을 조장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중/대선거구 개편을 통한 지역주의 해소책에 대해서는 반대한다"는
의견을 제시.
< 워싱턴=김수섭 기자 soosup@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9일자 ).
조찬연설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세일즈 외교활동에 들어갔다.
김 대통령의 이날 뉴욕증권거래소 연설은 미국 방문에서 펼칠 경제외교의
기본전략을 함축하고 있어 주목받았다.
김 대통령은 우선 지난 30년간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을 소홀히
해온 한국경제의 과거 반성으로부터 출발했다.
"한국경제는 한때 개발도상국들에 모범이 되었으나 지금은 사상누각에
불과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고 평가했다.
김 대통령은 그러나 한국은 이제 "아시아적 가치"를 부정하고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을 꾀해 재도약 할 수 있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김 대통령은 아시아국가의 경제위기는 기업과 금융기관의 "도덕적 해이"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나 한국은 국민의 정부 출범이후 정경유착이나 관치금융 등으로 인한
도덕적 해이를 조장했던 권위주의 체제를 극복, 새롭게 출발했다고 강조했다.
김 대통령은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발벗고 나섰다.
김대통령은 연설에서 외국인 주식투자한도를 폐지하고 국내기업에 대한
공격적 기업인수합병(M&A)을 허용하는 등의 투자환경개선 내용을 설명하는데
주력했다.
외국인들의 직접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외국인 투자지역을 지정하여
세제감면 등의 혜택을 주는 등 인센티브 내용도 소개했다.
<>.김 대통령은 8일 밤 뉴욕증권거래소 조찬 연설에 이어 개장 타종식을
거행.
그라소 뉴욕증권거래소이사장은 김 대통령의 연설전 "김대통령이 3년전
이곳을 방문했을 때 다우존스 지수가 4천3백선이었는데 지금은 9천이
넘었다"며 "3년후 다시 이곳을 방문하면 또 다시 지수가 배로 뛸것"이라고
환영.
참석자들은 김 대통령의 연설이 끝나자 "한국에 투자할 준비가 돼있다"는
우호적인 반응.
그라소 이사장은 이날 김 대통령과 환담에서 "한국의 외환정책이 성공적"
이라며 "한국에 대해 도울 준비가 돼있다"고 언급.
김 대통령은 연설후 거래소 관계자들과 객장 2층으로 이동, 오전 9시30분
벨을 눌러 개장을 알렸다.
이날 뉴욕증시는 김 대통령의 타종식이후 다행히 지수가 10시 10분현재
38.6포인트 뛰는 등 좋은 분위기로 출발.
<>.김 대통령은 미국방문 이틀째인 8일 오전 "지방선거에서 여당입장이
안정돼 정치적으로도 자신이 생겼다"며 "귀국후 실업대책과 금융 및 기업
개혁, 중소기업 활성화 대책 마련에 진력하겠다"고 다짐.
김 대통령은 이날 뉴욕인근 뉴저지주의 한 음식점에서 현지 동포를 위한
리셉션에서 이같이 말하고 우리나라의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해외동포들이
적극 노력해줄 것을 당부.
김 대통령은 "주식 한 주 없는 정부가 은행장을 임명하는 것은 상법 위반"
이라며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병행 발전시키는 것은 기본을 바로 잡는 것"
이라고 설명.
김 대통령은 이어 세계 3대 박물관중 하나인 메트로폴리탄 박물관내
한국전시실 개관식에 참석, "한.미 양국은 정치.군사.경제적으로 어느 나라
보다 가까운 관계에 있다"며 "이제 문화적인 관계를 그에 못지 않게 긴밀히
할 시기가 찾아왔다"고 강조.
김 대통령은 또 "한국은 이미 "아시아에서는 민주주의가 어울리지 않는다"
는 편견을 깨고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동전의 양면같이, 또 수레의 양바퀴
같이 서로 분리될 수 없다는 신념아래 경제적 개혁에 전념하고 있다"고 소개.
이에앞서 김 대통령은 일요일을 맞아 성 패트릭성당 미사에 참석한뒤 존
오코너 추기경과 환담.
<>.김 대통령은 이날 한국일보 창간 44주년을 맞아 뉴욕현지에서 기자회견
을 갖고 "앞으로의 정계 개편은 지역적인 지지기반을 확대시킬 수 있는 방향
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해 영남지역과의 연합을 통한 정계개편 가능성을
시사.
김 대통령은 "그러나 자민련과의 대선 당시 공약은 반드시 지켜 나갈 것"
이라고 강조.
선거구 문제와 관련, 김 대통령은 "선거구와 지역주의는 관계가 없다"고
전제하고 "중선거구제는 정치적 파벌형성과 분열을 조장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중/대선거구 개편을 통한 지역주의 해소책에 대해서는 반대한다"는
의견을 제시.
< 워싱턴=김수섭 기자 soosup@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