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개 정부투자기관의 방만한 경영실태가 또다시 지적됐다.

자회사에 대한 방만한 관리나 임금의 과다인상 등이 이들 기관에 만연한
것으로 드러났다.

예산청의 경영평가단은 지난해 이들 기관의 경영실적을 분석해 모두 61개
사항을 시정권고했다.

<> 방만한 자회사 관리 =한전은 자회사를 7개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정작 한전의 업무와 무관한 정보통신 등 다른 업종의 자회사가 많다.

경영평가단은 본사 직원의 자리를 마련해 주기 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전정보네트워크의 경우 2급이상 간부 90%가 한전 출신인 것으로 파악됐다.

농수산물유통공사는 자회사인 한국물산이 정리절차를 밟고 있는 것에 대한
방만한 관리가 문제로 지적됐다.

<> 과다한 임금인상 =석탄공사는 지난해 8백33억원의 적자를 내고도 1-3급
직원의 임금을 10%이상 올렸다.

조폐공사도 지난해 공사의 부가가치가 0.5% 감소했지만 최근 3년간 20%
이상 임금을 올렸다.

30%가 넘은 간부도 있었다.

주택공사도 2,3급의 인상률이 가장 높았다.

한전이나 농어촌진흥공사도 효도휴가비 복지후생비를 큰 폭으로 올려
편법적으로 보수를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 주먹구구식 예산운용 =주택공사는 올 예산중 판매비 집행이 45%가
4분기에 집중돼 있다.

예산절감노력없이 불용예산을 줄이는데 급급한 때문이다.

도로공사는 지난해 예산절감액 81억원중 60억원을 인건비로 전용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는 지난해 사업비 집행률이 87.5%에 불과해 처음부터
예산을 과다하게 요구한 것으로 지적됐다.

<> 실종된 책임경영 =수치로 드러나지 않는 경영평가분야에서 대부분의
투자기관이 책임경영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석탄공사는 차입금 4천9백여억원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주택공사도 민간기업처럼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 김준현 기자 kimj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2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