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한경 실전논술) (5) '흑백논리와 올바른 사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철학자들은 우주의 모든 현상이 우주적 과정에 참여하고 있으며
본질적으로 역동적인 것으로 여겼다.
도의 기본적인 특징은 부단한 운동의 주기성에 있다.
물리계에서뿐만 아니라 심리적.사회적 영역에서도 모든 발전은 주기적
형태를 나타낸다.
중국인들은 변화의 주기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상반하는 양극, 음과 양을
도입했다.
그들은 이 주기형태의 관념에 일정한 구조를 부여했다.
"양이 극에 달하면 음을 위해 물러나고 음이 극에 달하면 양을 위해서
물러난다"
중국적인 견해에서는 양극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의해 도가 발현된다.
양극은 자연과 사회생활속의 상반적인 이미지와 연관돼 있다.
이 상반적인 것들이 서로 다른 범주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전일한 것의
양극이라는 것은 중요하다.
음뿐이거나 양뿐인 것은 없다.
모든 자연현상은 양극사이의 연속적인 진동의 표현이다.
모든 변화는 점진적으로 단절없이 진행한다.
자연질서는 음과 양 사이의 "역동적 평형"의 하나다.
음과 양이란 용어는 최근 서양에서도 일반화됐다.
그러나 중국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것은 드물다.
서양에서의 음양은 문화적 선입견을 반영하고 있으며 원래 의미를 왜곡한
것이다.
이러한 사고에 의하면 음은 수렴적이고 반응적이며 보수적인 모든 것에
상응한다.
양은 확신적이고 공격적이며 강제적인 모든 것에 상응한다.
그중 몇가지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겨울-여름 밤-낮 땅-하늘 달-해 한-온.
중국문화에서 음과 양은 결코 윤리적 가치와 연결되는 것이 아니다.
음과 양 자체가 좋거나 나쁜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다만 좋은 것은 음과 양의 역동적 평형이다.
반면 나쁜 것은 음과 양의 "비평형"이다.
-----------------------------------------------------------------------
< 실전 >
우리사회에는 이분법적 사고경향이 널리 퍼져 있다.
동.서양의 사고 차이를 언급한 예시문을 통해 흑백논리의 의의와 한계 및
극복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 자료및 첨삭문의 : 노환기/한국논리.논술협회장(02-3453-3133)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26일자 ).
본질적으로 역동적인 것으로 여겼다.
도의 기본적인 특징은 부단한 운동의 주기성에 있다.
물리계에서뿐만 아니라 심리적.사회적 영역에서도 모든 발전은 주기적
형태를 나타낸다.
중국인들은 변화의 주기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상반하는 양극, 음과 양을
도입했다.
그들은 이 주기형태의 관념에 일정한 구조를 부여했다.
"양이 극에 달하면 음을 위해 물러나고 음이 극에 달하면 양을 위해서
물러난다"
중국적인 견해에서는 양극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의해 도가 발현된다.
양극은 자연과 사회생활속의 상반적인 이미지와 연관돼 있다.
이 상반적인 것들이 서로 다른 범주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전일한 것의
양극이라는 것은 중요하다.
음뿐이거나 양뿐인 것은 없다.
모든 자연현상은 양극사이의 연속적인 진동의 표현이다.
모든 변화는 점진적으로 단절없이 진행한다.
자연질서는 음과 양 사이의 "역동적 평형"의 하나다.
음과 양이란 용어는 최근 서양에서도 일반화됐다.
그러나 중국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것은 드물다.
서양에서의 음양은 문화적 선입견을 반영하고 있으며 원래 의미를 왜곡한
것이다.
이러한 사고에 의하면 음은 수렴적이고 반응적이며 보수적인 모든 것에
상응한다.
양은 확신적이고 공격적이며 강제적인 모든 것에 상응한다.
그중 몇가지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겨울-여름 밤-낮 땅-하늘 달-해 한-온.
중국문화에서 음과 양은 결코 윤리적 가치와 연결되는 것이 아니다.
음과 양 자체가 좋거나 나쁜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다만 좋은 것은 음과 양의 역동적 평형이다.
반면 나쁜 것은 음과 양의 "비평형"이다.
-----------------------------------------------------------------------
< 실전 >
우리사회에는 이분법적 사고경향이 널리 퍼져 있다.
동.서양의 사고 차이를 언급한 예시문을 통해 흑백논리의 의의와 한계 및
극복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 자료및 첨삭문의 : 노환기/한국논리.논술협회장(02-3453-3133)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2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