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5개월째 하락 .. 통계청, 5월 산업동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기하강세가 계속되고 있다.
최악의 국면이다.
산업생산은 5개월연속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했고 내수용소비재 출하와
설비용기계류 내수는 사상 최대 감소율을 나타냈다.
한때 주춤했던 전국 어음부도율도 5월중 0.45%를 기록, 전달보다
0.03%포인트 높아졌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중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생산증가율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마이너스 10.8%를 기록, 지난 3월부터 3개월연속 10%이상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5월중 16.3%의 감소율을 보였던 도소매판매도 지난 80년5월(<>18.6%)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11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계속하고 있는 설비투자 증가율은 마이너스
47.6%를 기록, 작년 5월의 절반수준에 머물렀다.
62.3%가 줄어든 건설수주는 지난 76년이후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 생산 = 제조업 생산증가율은 11.2% 감소했다.
중공업(<>8.6%)보다는 경공업(<>19.0%)의 감소폭이 컸다.
업종별로는 반도체(49.8%) 기타운송장비(46.3%)등의 생산이 늘어난 반면
자동차(<>43.8%) 기계장비(<>36.4%) 조립금속(<>28.1%) 등이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생산자 제품출하도 작년 5월보다 13.7% 감소했으며 소비위축에 따라 내수용
출하는 무려 28.7% 감소했다.
수출용 출하는 24.3% 늘어났지만 전달(28.3%)보다 낮아졌다.
한편 재고는 지난 2월이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내수침체에 따라 기업들이 생산을 줄이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자동차(<>28.3%) 기계장비(<>14.0%) 음향통신기기(<>17.2%) 등이 대표적인
업종들이다.
<> 소비 = 도소매 판매실적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6.3% 감소했다.
수산물(29.0%) 서적및 인쇄물(21.3%) 등이 증가한 반면 건축재료(<>24.3%)
통신장비및 전기용기계(<>33.8%) 음식료품 종합소매(<>20.0%) 등은 줄어
들었다.
내수용 소비재출하는 전체적으로 28.5% 감소한 가운데 승용차(<>78.2%)
정수기(<>56.7%) 칼라TV(<>44.5%) 대형냉장고(<>47.6%) 남녀기성복(<>43.3%)
등이 감소세를 주도했다.
<> 투자 = 작년 5월보다 기계류 내수출하는 47.6%, 수입은 56.1% 각각
감소했다.
국내기계수주(선박 제외)는 공공부분의 운수업(<>98.9%) 통신업(<>47.1%)
등의 발주가 위축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41.7%가 줄어들었다.
국내 건설수주는 도로 교량의 발주부진과 함께 민간부문에서 주택(<>94.3%)
사무실(<>56.2%) 등의 발주가 크게 감소함에 따라 62.3%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 조일훈 기자 ji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30일자 ).
최악의 국면이다.
산업생산은 5개월연속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했고 내수용소비재 출하와
설비용기계류 내수는 사상 최대 감소율을 나타냈다.
한때 주춤했던 전국 어음부도율도 5월중 0.45%를 기록, 전달보다
0.03%포인트 높아졌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중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생산증가율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마이너스 10.8%를 기록, 지난 3월부터 3개월연속 10%이상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5월중 16.3%의 감소율을 보였던 도소매판매도 지난 80년5월(<>18.6%)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11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계속하고 있는 설비투자 증가율은 마이너스
47.6%를 기록, 작년 5월의 절반수준에 머물렀다.
62.3%가 줄어든 건설수주는 지난 76년이후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 생산 = 제조업 생산증가율은 11.2% 감소했다.
중공업(<>8.6%)보다는 경공업(<>19.0%)의 감소폭이 컸다.
업종별로는 반도체(49.8%) 기타운송장비(46.3%)등의 생산이 늘어난 반면
자동차(<>43.8%) 기계장비(<>36.4%) 조립금속(<>28.1%) 등이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생산자 제품출하도 작년 5월보다 13.7% 감소했으며 소비위축에 따라 내수용
출하는 무려 28.7% 감소했다.
수출용 출하는 24.3% 늘어났지만 전달(28.3%)보다 낮아졌다.
한편 재고는 지난 2월이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내수침체에 따라 기업들이 생산을 줄이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자동차(<>28.3%) 기계장비(<>14.0%) 음향통신기기(<>17.2%) 등이 대표적인
업종들이다.
<> 소비 = 도소매 판매실적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6.3% 감소했다.
수산물(29.0%) 서적및 인쇄물(21.3%) 등이 증가한 반면 건축재료(<>24.3%)
통신장비및 전기용기계(<>33.8%) 음식료품 종합소매(<>20.0%) 등은 줄어
들었다.
내수용 소비재출하는 전체적으로 28.5% 감소한 가운데 승용차(<>78.2%)
정수기(<>56.7%) 칼라TV(<>44.5%) 대형냉장고(<>47.6%) 남녀기성복(<>43.3%)
등이 감소세를 주도했다.
<> 투자 = 작년 5월보다 기계류 내수출하는 47.6%, 수입은 56.1% 각각
감소했다.
국내기계수주(선박 제외)는 공공부분의 운수업(<>98.9%) 통신업(<>47.1%)
등의 발주가 위축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41.7%가 줄어들었다.
국내 건설수주는 도로 교량의 발주부진과 함께 민간부문에서 주택(<>94.3%)
사무실(<>56.2%) 등의 발주가 크게 감소함에 따라 62.3%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 조일훈 기자 ji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3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