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투 잠수정 무인함 설치" .. 국방부, 복귀도중 사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한 잠수정에 승선했던 인원은 모두 9명으로 3명이 우리 해안에 상륙,
1시간 가량 드보크(무인함)를 설치한 후 북으로 복귀하던중 잠수정이 고장나
사고를 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중앙 합동신문조는 29일 잠수정에서 노획한 총 2백3종 1천3백88점의 장비
등을 토대로 관계당국이 합동신문을 벌인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합동신문 결과에 다르면 북한 잠수정은 북한 노동당 작전부 313연락부
소속으로 지난 20일 오후 6시30분 원산 앞바다 황토섬을 출발, 21일 오후
8시30분께 강원도 양양군 수산리 앞바다 1.5km 지점에 도착했다.
이어 21일 오후 11시37분께 침투조로 보이는 3명의 저격수를 우리 해안에
침투시켜 22일 오전 0시3분 드보크를 설치하고 잠수정으로 돌아와 복귀하던중
속초 동쪽 11.5마일(20.7km) 해상에서 그물에 걸려 22일 오후 4시33분께
우리 어선에 발각됐다.
이들은 우리 어선에 발각된뒤 그물 제거작업을 시도하다가 실패하자 22일
오후5시를 전후해 저격수 및 조장 4명이 수류탄과 AK소총 및 체코제 기관권총
으로 승조원 5명을 살해한뒤 체코제 기관권총으로 자살했다.
한편 정부는 잠수정 침투 사건이 북한의 명백한 침투도발 행위로 드러남에
따라 30일 오후 판문점에서 유엔사 북한군간 장성급 회담을 열고 이 문제에
대한 북한측의 납득할 만한 조치를 촉구하기로 했다.
< 장유택 기자 changyt@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30일자 ).
1시간 가량 드보크(무인함)를 설치한 후 북으로 복귀하던중 잠수정이 고장나
사고를 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중앙 합동신문조는 29일 잠수정에서 노획한 총 2백3종 1천3백88점의 장비
등을 토대로 관계당국이 합동신문을 벌인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합동신문 결과에 다르면 북한 잠수정은 북한 노동당 작전부 313연락부
소속으로 지난 20일 오후 6시30분 원산 앞바다 황토섬을 출발, 21일 오후
8시30분께 강원도 양양군 수산리 앞바다 1.5km 지점에 도착했다.
이어 21일 오후 11시37분께 침투조로 보이는 3명의 저격수를 우리 해안에
침투시켜 22일 오전 0시3분 드보크를 설치하고 잠수정으로 돌아와 복귀하던중
속초 동쪽 11.5마일(20.7km) 해상에서 그물에 걸려 22일 오후 4시33분께
우리 어선에 발각됐다.
이들은 우리 어선에 발각된뒤 그물 제거작업을 시도하다가 실패하자 22일
오후5시를 전후해 저격수 및 조장 4명이 수류탄과 AK소총 및 체코제 기관권총
으로 승조원 5명을 살해한뒤 체코제 기관권총으로 자살했다.
한편 정부는 잠수정 침투 사건이 북한의 명백한 침투도발 행위로 드러남에
따라 30일 오후 판문점에서 유엔사 북한군간 장성급 회담을 열고 이 문제에
대한 북한측의 납득할 만한 조치를 촉구하기로 했다.
< 장유택 기자 changyt@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3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