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위원회의 "기업수술"정책에 시장이 거부반응을 보이고 있다.

금융기관, 특히 제2,3금융권은 이달들어 워크아웃(기업가치회생작업)
대상으로 거론되는 기업에 대해 채권회수에 들어갔다.

거래기업들도 동요하고 있다.

납품을 거부하거나 현금결제 등 훨씬 까다로운 거래조건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증시에선 해당기업 주식값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따라 마감을 이틀 앞둔 8일 현재 주채권은행에 워크아웃을 신청한
기업은 손에 꼽을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런 거부반응은 "워크아웃을 기업퇴출내지 기업죽이기로 오해하고 있기
때문에 빚어진 현상"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워크아웃은 채권자 기업주 종업원 등 이해관계자가 모두 사는 "윈윈
(win-win)전략"이라고 금감위는 강조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시장 거부반응이 모두 오해와 무지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우선 영향권에 드는 기업이 엄청나게 많다.

최근 부도난 거평을 제외한 64대그룹 계열사는 국내법인 1천1백37개,
해외법인 1천1백1개 등 총 2천2백38개(은행감독원 4월1일발표기준).

이중 워크아웃대상은 재무구조개선약정을 개정해 자율적으로 구조조정을
해야하는 5대그룹계열사 8백83개를 포함, 6~64대계열사의 30%수준(선정대상
16개시)인 4백20여개, 기타 대기업 80개 등 총 1천3백~1천4백개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해외현지법인을 제외하더라도 5백~6백개에 달한다.

워크아웃의 핵심수단인 부채구조조정은 금융권의 자금회수를 부채질하는
주요인.

빚탕감 등 부채구조조정에 응하는 금융기관은 어느정도의 "희생"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금융기관들은 따라서 워크아웃이 시작되기전에 돈을 거둬들이는 것이
최선이라고 판단하게 마련이다.

감자(자본금줄임)를 당할 수 있는 대주주의 반발도 거세다.

주식값이 떨어지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일자리를 잃을 것을 걱정하는 종업원도 워크아웃을 반기지 않는 듯 하다.

그러나 이런 이기적 발상만 접어둔다면 워크아웃은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득이 된다는데 금융기관과 기업도 원칙적으로 동의하고 있어 ''계몽''활동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워크아웃을 하지 않고 그냥 넘어갈 경우 금융기관은 또다시 대규모 부실을
떠안게 되고 기업도 결국 도산에 이르기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시장의 충격과 동요를 최소화하기위해선 금감위가 적극적으로
"오해"를 불식시키는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 허귀식 기자 window@ >

<< 워크아웃 (workout) >>

한마디로 ''기업가치회생작업''이다.

장래성이 있는 기업이 빚이 많아 경영난을 겪을때 금융기관이 빚탕감
등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여주는 것이다.

기업구조조정위원회는 8일 금융권 워크아웃팀관계자를 소집, 구체적인
선정기준 및 절차를 제시했다.

----------------------------------------------------------------------

[[ 금융감독위원회 기업구조조정 전략 ]]

<>1~5대그룹

.주채권은행내 여신전담팀 구성(7/2)
.재무구조개선 약정보완(7월말)
.금감위 점검(8월중)
.주채권은행 자산실사(8월이후)
.빅딜추진 지원

<>6~64대 및 기타 대기업

.주채권은행 워크아웃 신청접수(7/10)
.워크아웃대상 선정(7/10):16개그룹.80개 대기업
.워크아웃추진전략 수립(7월말)

<>중소기업

.중소기업 3단계 분류작업(6월말)
.자금지원 및 애로사항 점검
.워크아웃팀대상 교육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