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펠탑이 1889년 파리 만국박람회장에 모습을 드러냈을 때 지식인들은
"괴물"이라고 혹평했다.

파리의 아름다운 경관을 해친다는 것이 이유였다.

모파상도 그 가운데 한사람이다.

그 무렵 모파상은 에펠탑 전망대 레스토랑에서 자주 식사를 했다.

사람들이 이곳에서 식사하는 까닭을 물으면 "보기 싫은 에펠탑을 보지
않고 식사를 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이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에펠탑은 프랑스혁명 1백주년을 기념해 1889년 파리에서 열린 만국박람회
(EXPO)의 상징조형물로 세워졌다.

교량기술자 귀스타브 에펠이 설계한 이 탑은 기술문명의 승리를 표현해
당시에는 세계에서 제일 높은 3백m의 위용을 뽐냈다.

프랑스 제3공화국의 우위를 상징했던 셈이다.

에펠탑의 높이는 탑이 세워진뒤 40년동안은 세계 최고였다.

그러나 지금은 미국 시카고의 시어스 타워(4백42m)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
의 페르로나스 타워(4백52m) 등과는 비교도 안된다.

중국 상하이의 세계금융센터(4백60m)가 준공되는 2001년이면 높이로는
이 빌딩이 최고가 된다.

처음 세워졌을 때 "괴물"이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에펠탑은 지금 인기절정
이다.

파리의 상징일뿐만 아니라 유럽연합을 상징하는 건축물이다.

프랑스인은 물론이고 이탈리아인의 50%, 영국인의 62%, 스페인인의 59%가
유럽의 상징기념물로 에펠탑을 꼽았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파리최고의 관광명소로 연간 5백만명의 입장객들로부터 2억프랑(약
4백40억원)의 수입을 올리고 있다.

에펠탑이 미국에 팔릴 위기에 놓였다고 한다.

운영회사의 대주주인 부동산 은행이 민영화됨에 따라 그 은행을 미국회사가
사겠다고 나섰기 때문이다.

"프랑스의 자존심"이 미국에 팔릴 위기에 처한 셈이다.

최근들어 이탈리아 정부가 콜로세움 등 문화재를 민간에 이양하겠다고
나섰는가 하면 우리 기획예산위원회도 국립박물관을 민간에 위탁관리시키겠
다는 기획안을 내놓은 적이 있다.

경우는 좀 다르다 해도 과연 문화재가 외국의 투자대상이 될 수 있는
것인지 문화대국 프랑스정부의 결정이 기다려진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1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