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월마트 '한국 대공습'] (1) '일문일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조 해트필드 < 월마트 아시아담당사장 >
-향후 투자전략은.
"현재 마크로의 점포 4개를 인수했다.
지분이전 외국인사업등록 등 행정절차가 끝나는 열흘후쯤 본격 영업에 나설
것이다.
또 마크로가 갖고 있는 6개 부지에도 매장을 낼 예정이다.
2~3개월간 한국고객들의 소비성향 등 특성을 파악한후 빠른 시일내에 문을
열 것이다.
킴스클럽 등과의 매입협상여부는 여기서 밝힐 수 없다"
-어떤 제품을 팔 것인가.
"중국의 경우 중국산 제품이 95%를 차지한다.
한국에서도 한국소비자들이 즐겨 찾는 제품을 많이 판매할 것이다.
또 P&G와 같은 외국의 유명브랜드를 한국에 끌어들여 사업파트너로 잡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외국에서 제품을 수입,판매할 경우 시간이 너무 걸리고 한국인 취향에 맞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월마트는 특히 올해 한국산 제품을 2억5천만달러를 구매했다.
이들 상품은 세계 각 영업점에 공급되고 있다"
-앞으로 운영방식은.
"미국 월마트와 같이 디스카운트스토어 형태를 취할지, 슈퍼센터와 같은
다른 영업방식을 취할지 결정된 바 없다.
처음에는 현재의 마크로 판매전략을 그대로 고수할 것이다.
그러나 한국고객의 소비성향과 유통업체들의 판매전략을 면밀히 분석한후
영업형태를 결정할 것이다"
-상호는.
"현재 월마트 사용여부가 특허심판계류중이다.
결과가 나올 때까지 마크로라는 상호를 사용할 것이다.
특허분쟁은 승산이 있다고 본다"
< 김영규 기자 you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13일자 ).
-향후 투자전략은.
"현재 마크로의 점포 4개를 인수했다.
지분이전 외국인사업등록 등 행정절차가 끝나는 열흘후쯤 본격 영업에 나설
것이다.
또 마크로가 갖고 있는 6개 부지에도 매장을 낼 예정이다.
2~3개월간 한국고객들의 소비성향 등 특성을 파악한후 빠른 시일내에 문을
열 것이다.
킴스클럽 등과의 매입협상여부는 여기서 밝힐 수 없다"
-어떤 제품을 팔 것인가.
"중국의 경우 중국산 제품이 95%를 차지한다.
한국에서도 한국소비자들이 즐겨 찾는 제품을 많이 판매할 것이다.
또 P&G와 같은 외국의 유명브랜드를 한국에 끌어들여 사업파트너로 잡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외국에서 제품을 수입,판매할 경우 시간이 너무 걸리고 한국인 취향에 맞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월마트는 특히 올해 한국산 제품을 2억5천만달러를 구매했다.
이들 상품은 세계 각 영업점에 공급되고 있다"
-앞으로 운영방식은.
"미국 월마트와 같이 디스카운트스토어 형태를 취할지, 슈퍼센터와 같은
다른 영업방식을 취할지 결정된 바 없다.
처음에는 현재의 마크로 판매전략을 그대로 고수할 것이다.
그러나 한국고객의 소비성향과 유통업체들의 판매전략을 면밀히 분석한후
영업형태를 결정할 것이다"
-상호는.
"현재 월마트 사용여부가 특허심판계류중이다.
결과가 나올 때까지 마크로라는 상호를 사용할 것이다.
특허분쟁은 승산이 있다고 본다"
< 김영규 기자 you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1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