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병 치아발육기 유아용장난감 플라스틱식기류 캔식품 식품포장용랩
컵라면용기 등등.

이제는 일상생활에서 뗄래야 뗄 수 없게 된 물건들이다.

만일 여기에서 생식기능을 저하시키는 환경호르몬(내분비계 장애물질)이
녹아나온다면 충격이 아닐 수 없다.

환경호르몬 노출에서 벗어나는 묘안은 없을까.

우선 음식물의 경우 다이옥신 DDT 디엘드린 PCB 등 유기화학물질의 축적량이
많은 육류보다는 곡류 채소 과일을 선택하는게 바람직하다.

이들 유기화학물질은 사용이 금지됐지만 반감기가 길어서 아직도 토양에
잔류돼 있는 상태다.

먹이사슬로 볼때 식물보다 동물에 중금속의 축적농도가 높다.

과일이나 야채는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고 되도록 껍질을 벗긴후 먹도록
한다.

과일을 너무 오랫동안 물에 담가 세제로 씻으면 껍질의 잔류농약이 세제와의
친화성때문에 다소 안쪽으로 침투하는 경향이 있다.

또 세척력이 강한 세제는 환경호르몬으로 작용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사용을 줄이고 세척후에는 항상 손을 깨끗이해야한다.

전자레인지에서 음식을 투명플라스틱용기나 랩으로 씌워 데우거나 컵라면을
데워 먹지 말아야 한다.

플라스틱용기나 랩에는 유연성을 높이는 비스페놀A 아디피테이트계 화합물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등의 가소제가 첨가돼있다.

이들 물질의 위해성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진행중이기 때문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최소화하라는 권고만 있을뿐 규제치를 정하지는
못하고 있다.

어쨌든 전자레인지에 넣어 고열을 가하는 가혹상황에서는 이들 가소제가
우러나오게 돼있다.

DOP DBP는 장기간 섭취하면 암이 유발되는 2A급 발암물질이다.

따라서 1회용 식품용기와 랩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현명하다.

미국에서는 80년대초 "랩 파동"이후 판매량이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컵라면에 끓인 물을 붓고 20분안에 먹으면 스티렌다이머
스티렌트리머 등의 물질이 용출되지 않는다며 통상적인 조리법에서는 안심
해도 좋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미국 환경청이 생식계장애의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선정하고 위해성을 검토하고 있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다.

비스페놀A는 젖병 등 플라스틱제품의 가소제, 커튼의 방염제(방염제), 캔
내벽의 부식방지 코팅제로 쓰인다.

일본에서는 최근 캔 내벽의 비스페놀A를 제거하도록 시정조치했고 캔 내벽을
폴리에틸렌수지로 대체하거나 알루미늄캔을 사용하도록 권고한바 있다.

쓰레기소각장 담배연기에서 나오는 다이옥신을 피하기 위해서는 우선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담배를 끊는게 현명하다.

이밖에 파리 모기 살충제의 사용량을 줄이며 가급적 인체에 해가 덜한
식물성 천연 살충제를 사용하는게 바람직하다.

폐건전지 폐형광 등 깨진 수은온도계 등과 같은 유해 폐기물도 적절히
처리하도록 한다.

어린이 장난감은 플라스틱류보다는 가능한 한 목재 또는 천연소재로 된
장난감을 선택하는게 바람직하다.

또 초벌구이에 납성분이 함유된 안료를 칠한 기념품 머그잔에 뜨거운 차를
담아 마시는 것은 중금속 용출의 위험이 있어 피해야 한다.

치아치료시 사용되는 아말감도 미량의 중금속 용출이 우려되므로 사용량을
줄이는게 바람직하다.

< 정종호 기자 rumba@ >

[ 환경호르몬이란 ]

동물이나 사람의 몸에 들어가서 호르몬작용을 방해하거나 교란시키는
물질이다.

학술용어로는 내분비계 교란물질(Endocrine Disrupting Chemical).

인체 호르몬과 유사한 물질이 진짜 호르몬인양 행세를 하거나 아예 진짜
호르몬이 작용할 세포자리와 결합해 원천적으로 호르몬작용을 봉쇄하게 된다.

환경호르몬의 부작용으로는 호르몬 분비의 불균형, 생식능력 저해 및 생식
기관 기형, 생장저해, 유방암 전립선암 등 암유발, 면역기능 저해 등을 들
수 있다.

[[ 미국환경청(EPA)이 정한 내분비계 교란물질 ]]

<> 확정된 것 (19종)

DDD, DDT, DDE, 클로르단, 아트라진, 디엘드린(이상 농약.제초제)
디옥신(연소배출가스)
PCB(절연체)
트리부틸주석
DES(합성여성호르몬의 일종)

<> 가능성 있는 것 (28종)

앨드린 엔드린
메틸파라치온 파라치온
2,4-D 2,4,6-T(이상 농약)
납, 수은, 카드뮴과 결합한 유기화합물
스티렌 모노머.다이머.트리머(발포플라스틱용기)
비스페놀A
헥사클로로벤젠

<> 추정되는 것 (26종)

사이퍼메스린 퍼메스린(살충제)
DBP
디헥실프탈레이트
디펜틸프탈레이트
디프로필프탈레이트
부틸페놀 펜틸페놀(이상가소제)
말라치온(농약)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1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