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리스사 정리에 착수..서울 등 5개은행, 가교리스사 출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가교리스사인 한국리스여신(대표 이정녕)이 정식 출범함에 따라 부실리스사
정리작업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서울 광주 부산 충북 대구 등 5개 은행은 15일 여신금융협회에서 부실
리스사의 자산과 부채를 인수할 한국리스여신을 발족시켰다.
자본금 2백억원으로 세워진 이 가교리스사는 5개 은행의 리스자회사인
서은 광은 부산 중앙 대구리스의 자산과 자산총액에 해당하는 부채를 인수,
정리작업을 지원하게 된다.
자산과 부채이전을 끝마친 부실 리스사는 곧바로 주주총회를 소집, 청산절차
를 밟게 된다.
이에따라 가교리스를 통해 정리되는 리스사는 별다른 충격없이 시장에서
퇴출될 것으로 보인다.
기업 등 리스를 이용해온 고객입장에서도 계약당사자가 부실 리스사에서
가교리스로 바뀌는 것을 제외하곤 모든 계약이 그대로 유지된다.
채권금융기관도 가교리스로 이전되는 여신에 대해서는 원리금을 단계적으로
지급받을 수 있게 될뿐 아니라 건전성평가에서도 "정상여신"으로 분류된다.
다만 자산총액에 해당하는 부채만 가교리스로 옮긴 다음 나머지는 탕감
시킨다는 방침이어서 일부 채권금융기관의 반발이 예상되고 있다.
이정녕 한국리스여신 사장은 "부실리스사 주주및 채권단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어려운 과정이 남아 있긴 하지만 원활한 리스사 정리를 위한 토대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이 사장은 또 "계획대로 자산 부채이전이 이뤄지면 9월말께는 부실리스사
청산작업이 본격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총10개 퇴출예정 리스사 가운데 동화 동남 대동 충청은행 등 5개
퇴출은행 리스자회사는 대주주인 모은행의 출자가 불가능해 가교리스를 통한
정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수은행이 출자에 난색을 표명하고 있을 뿐 아니라 퇴출은행의 자본금
납입도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해당 리스사에 여신이 있는 채권금융기관들이 공동으로 자본금을
출자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나 실현가능성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애초 퇴출대상으로 분류됐던 경기은행의 경인리스는 현재 자체 생존을
모색중인 반면 신용보증기금의 신보리스는 한국리스여신과 신규 출자문제를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추가 퇴출되는 리스사가 가교리스에 참여할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면서도 "앞으로 주주나 채권금융기관들의 판단에 따라
가교리스를 통해 정리되는 리스사는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 김수언 기자 sooki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16일자 ).
정리작업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서울 광주 부산 충북 대구 등 5개 은행은 15일 여신금융협회에서 부실
리스사의 자산과 부채를 인수할 한국리스여신을 발족시켰다.
자본금 2백억원으로 세워진 이 가교리스사는 5개 은행의 리스자회사인
서은 광은 부산 중앙 대구리스의 자산과 자산총액에 해당하는 부채를 인수,
정리작업을 지원하게 된다.
자산과 부채이전을 끝마친 부실 리스사는 곧바로 주주총회를 소집, 청산절차
를 밟게 된다.
이에따라 가교리스를 통해 정리되는 리스사는 별다른 충격없이 시장에서
퇴출될 것으로 보인다.
기업 등 리스를 이용해온 고객입장에서도 계약당사자가 부실 리스사에서
가교리스로 바뀌는 것을 제외하곤 모든 계약이 그대로 유지된다.
채권금융기관도 가교리스로 이전되는 여신에 대해서는 원리금을 단계적으로
지급받을 수 있게 될뿐 아니라 건전성평가에서도 "정상여신"으로 분류된다.
다만 자산총액에 해당하는 부채만 가교리스로 옮긴 다음 나머지는 탕감
시킨다는 방침이어서 일부 채권금융기관의 반발이 예상되고 있다.
이정녕 한국리스여신 사장은 "부실리스사 주주및 채권단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어려운 과정이 남아 있긴 하지만 원활한 리스사 정리를 위한 토대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이 사장은 또 "계획대로 자산 부채이전이 이뤄지면 9월말께는 부실리스사
청산작업이 본격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총10개 퇴출예정 리스사 가운데 동화 동남 대동 충청은행 등 5개
퇴출은행 리스자회사는 대주주인 모은행의 출자가 불가능해 가교리스를 통한
정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수은행이 출자에 난색을 표명하고 있을 뿐 아니라 퇴출은행의 자본금
납입도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해당 리스사에 여신이 있는 채권금융기관들이 공동으로 자본금을
출자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나 실현가능성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애초 퇴출대상으로 분류됐던 경기은행의 경인리스는 현재 자체 생존을
모색중인 반면 신용보증기금의 신보리스는 한국리스여신과 신규 출자문제를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추가 퇴출되는 리스사가 가교리스에 참여할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면서도 "앞으로 주주나 채권금융기관들의 판단에 따라
가교리스를 통해 정리되는 리스사는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 김수언 기자 sooki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1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