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불리기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조순 총재, 이회창 명예총재, 김윤환 이한동 이기택 김덕룡 부총재
등은 조만간 당권도전 의사를 공개 천명하고 다른 계파와의 연대모색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조 총재는 강릉을 재선에서의 압승을 토대로 당권파의 단일후보로
급부상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조 총재는 특정 계파를 이끌고 있는 수장이 아니란 점이 강점이 되고
있다.
각 계파의 이해관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각 계파가 이번 전당대회를 계기로 강력한 야당의 면모를 보여줘야
한다며 조 총재의 리더십 문제를 집중 제기할 움직임이어서 세가 없는
조 총재가 당권을 잡을지는 불투명하다.
조 총재의 최대 라이벌격인 이회창 명예총재측은 "김대중 대통령과 맞설
인물은 이회창 밖에 없다"는 대안부재론을 내세워 급속도로 세를 확산시켜
가고 있다.
이 명예총재는 같은 비당권파인 김윤환 부총재와 당권 분점을 전제로 한
연대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양측은 곧 후보문제를 놓고 담판을 벌일 것으로 알려졌다.
김윤환 부총재는 "당권-대권 분리"전제하에 당권도전 의지를 내비치고
있고 김덕룡 부총재등 당권파와의 연대 가능성도 타진하고 있으나
이 명예총재와의 제휴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한동 부총재는 당권파간 연대를 통한 "당권파 단일후보"를 염두에 두고
있고, 김덕룡 부총재는 세대교체를 명분으로 당풍혁신을 요구하는 개혁세력을
결집하는데 주력할 방침이어서 당권파 내부의 후보 조정작업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기택 부총재의 경우 당권경쟁에 나설 예정이나 계파단속 차원에 머물
것이란게 대체적 관측이다.
당권파내에서는 "이회창만은 안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어 비당권파
단일후보로 이 명예총재가 가시화되면 당권파들도 후보단일화를 성사시킬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 김삼규 기자 eskei@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2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