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투자 ABC] (13) '스톱로스' .. 차트분석 등 활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장재건 <보람증권 이사>
선물거래에서는 매매를 시작하기 전에 손실을 한정시키기 위한
손절매수준(stop price)을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손절매수준은 포지션 취득단가와 너무 괴리되게 설정하면
손실발생시 치명적일 수 있다.
반대로 취득단가와 너무 가깝게 설정하면 작은 시장가격의 움직임에도
포지션을 청산해야할 경우가 발생하므로 적정한 수준에서 스톱가격을
설정해야 한다.
미실현 손실의 관리를 위한 손절매수준은 자금관리 측면에서 위험에
노출시킬수 있는 자금의 규모를 이용해 결정할수 있다.
가용투자자금이나 증거금과 관련해 위험허용 금액을 산출하고 이를
계약당 가격으로 환산한후 포지션 취득단가에 가감해 결정하는 것이다.
또 손절매수준을 정하기위해 차트분석, 변동성 분석등으로 산출된
목표가격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차트분석에 의한 지지선이나 저항선을 손절매수준의 결정 기준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매도포지션을 청산하기위한 buy stop은 저항선의 약간 윗부분에 설정하고,
매수포지션을 청산하기위한 sell stop은 지지선의 약간 아랫부분에 설정하는
것이다.
이는 저항선이나 지지선 자체를 손절매수준으로 사용할 경우 좋은
기회인데도 손실을 보면서 포지션을 청산하게될 가능성을 피하기 위함이다.
둘째 가격의 변동성을 측정해 손절매수준을 설정하는 변동성 스톱
(volatility stop)이 있다.
이는 투자대상 상품의 변동성을 측정해 가격의 변동가능 범위를 산출해
손절매수준을 설정하는 방법이다.
이 기법은 과거의 데이터를 이용해 산출한 역사적 변동성이나 옵션의
가격에 포함된 내재적 변동성을 사용한다.
산출된 변동범위를 벗어날 경우 포지션을 청산하게 된다.
셋째 일정기간의 가격움직임을 고려해 손절매수준을 설정하는 기간
스톱(time stop)이 있다.
일정기간의 고점과 저점을 buy stop과 sell stop의 기준으로 삼는
방법이다.
저항선과 지지선을 이용하는 것과 비슷하지만 시간의 개념을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이는 과거 일정기간 거래되지 않은 가격수준은 앞으로도 당분간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하는 매매기법이다.
이와 유사하게 시간의 개념을 도입한 방법으로 일정기간내 이익이
발생하지 않으면 포지션을 청산하는 매매기법이 있다.
이는 거래에서 이익을 얻으려면 초기에 평가이익을 실현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에 의해 일정기간내에 평가이익이 발생하지 않으면 포지션을
청산하는 것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27일자 ).
선물거래에서는 매매를 시작하기 전에 손실을 한정시키기 위한
손절매수준(stop price)을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손절매수준은 포지션 취득단가와 너무 괴리되게 설정하면
손실발생시 치명적일 수 있다.
반대로 취득단가와 너무 가깝게 설정하면 작은 시장가격의 움직임에도
포지션을 청산해야할 경우가 발생하므로 적정한 수준에서 스톱가격을
설정해야 한다.
미실현 손실의 관리를 위한 손절매수준은 자금관리 측면에서 위험에
노출시킬수 있는 자금의 규모를 이용해 결정할수 있다.
가용투자자금이나 증거금과 관련해 위험허용 금액을 산출하고 이를
계약당 가격으로 환산한후 포지션 취득단가에 가감해 결정하는 것이다.
또 손절매수준을 정하기위해 차트분석, 변동성 분석등으로 산출된
목표가격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차트분석에 의한 지지선이나 저항선을 손절매수준의 결정 기준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매도포지션을 청산하기위한 buy stop은 저항선의 약간 윗부분에 설정하고,
매수포지션을 청산하기위한 sell stop은 지지선의 약간 아랫부분에 설정하는
것이다.
이는 저항선이나 지지선 자체를 손절매수준으로 사용할 경우 좋은
기회인데도 손실을 보면서 포지션을 청산하게될 가능성을 피하기 위함이다.
둘째 가격의 변동성을 측정해 손절매수준을 설정하는 변동성 스톱
(volatility stop)이 있다.
이는 투자대상 상품의 변동성을 측정해 가격의 변동가능 범위를 산출해
손절매수준을 설정하는 방법이다.
이 기법은 과거의 데이터를 이용해 산출한 역사적 변동성이나 옵션의
가격에 포함된 내재적 변동성을 사용한다.
산출된 변동범위를 벗어날 경우 포지션을 청산하게 된다.
셋째 일정기간의 가격움직임을 고려해 손절매수준을 설정하는 기간
스톱(time stop)이 있다.
일정기간의 고점과 저점을 buy stop과 sell stop의 기준으로 삼는
방법이다.
저항선과 지지선을 이용하는 것과 비슷하지만 시간의 개념을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이는 과거 일정기간 거래되지 않은 가격수준은 앞으로도 당분간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하는 매매기법이다.
이와 유사하게 시간의 개념을 도입한 방법으로 일정기간내 이익이
발생하지 않으면 포지션을 청산하는 매매기법이 있다.
이는 거래에서 이익을 얻으려면 초기에 평가이익을 실현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에 의해 일정기간내에 평가이익이 발생하지 않으면 포지션을
청산하는 것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2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