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최악의 마이너스 성장과 고실업 사태로 국민과 기업이 체감하는 고통이
한계상황에 이르렀다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긴축정책을 고수해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경기부양을 위한 통화팽창과 저금리정책이 외환위기를 재발시킬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또 경기부양은 퇴출기업의 생명을 연장시켜 구조조정의 걸림돌이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은 "금융위기를 경험한 해외 국가들의 처방에서 정책의 해법을
찾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외채부담이 많고 물가가 불안했던 국가들은 긴축기조를 유지했다는 것이다.
칠레와 멕시코 등이 그렇다.
반면 외채부담이 적고 물가가 안정된 국가들은 긴축정책을 단기간에 끝내고
확장정책으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등이 그런 사례다.
<> 중남미 모델 =83년 외채상환 중단까지 선언했던 칠레는 강도높은
긴축을 통해 성공적으로 경제위기를 극복한 것으로 평가된다.
칠레는 83년 당시 GNP(국민총생산)의 1백%란 높은 외채부담을 지고 있었다.
이어 85년 GNP 대비 1백45%까지 늘어났던 외채는 92년이 되서야 50% 이하로
줄어들었다.
5년이상 내수위축과 두자리수 실업률이란 고통을 참아낸 댓가였다.
95년 구제금융을 받았던 멕시코도 IMF(국제통화기금)의 긴축 프로그램에
따라 회생에 성공했다.
95년 당시 이 나라의 외채규모는 GDP(국내총생산)의 60%에 다다랐다.
멕시코는 정부지출을 축소시킨 반면 본원통화 목표치를 설정해 엄격하게
운용, 긴축기조를 유지했다.
<> 북유럽 모델 =90년대들어 금융위기를 겪었던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등은 구조조정과 경기부양책을 병행했다.
재정확대 등 다양한 지원책을 동원, 금융구조조정에 따른 신용경색을
막기위해 노력한 것이다.
기존 균형수준을 유지하던 이들 나라의 재정적자 규모가 GDP의 6%~15%
수준까지 늘어난 것은 이에따른 결과였다.
이를통해 구조조정 과정에서도 금리의 발목을 붙들어 맬수 있었다.
구조조정이 본격화된뒤 6개월에서 1년후부터 금리는 뚜렷한 하향 안정세를
나타냈다.
<> 시사점 =경기부양 여부는 무엇보다 외채위기의 진행정도에 따라 결정
돼야 한다.
LG경제연구원은 "그동안 한국에 고금리 긴축정책이 필요했던 것은 외화유입
을 통해 환율을 안정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외채위기 재발가능성이 줄어든
만큼 경기부양을 시도할 수 있는 여지는 커졌다"고 진단했다.
< 유병연 기자 yooby@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3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