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아 질병 정확히 진단할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한양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발육지연 등 태아의 각종 질병을 정확히 진단해 조기 치료할수
있는 길이 열렸다.
한양대 의대 염명걸 교수팀은 태아 심박수의 변화를 측정해 태아
건강상태 및 질병진단의 새로운 지표로 사용할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한양대 구리병원과 서울병원에 입원한 산모 1천여명을 대
상으로 임신 20주 이후의 태아 심박수를 이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정
확한 결과치를 얻어냈다.
태아의 심박수는 혈관 호흡 혈관운동중추 호흡중추 체온조절중추 교감
신경 등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다.
이번에 나온 소프트웨어는 정상 및 병적인 태아의 심박수를 컴퓨터로
측정,디지털 방식으로 컴퓨터에 전송한 다음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태
아 심박수 변화를 카오스적 분석을 통해 감별해내는 방식이다.
심박수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태아의 장기가 선형적.비선형적.불규칙형.
조합형 등 다양한 형태를 띤다는 사실에 착안한 것이다.
그동안 태아 질병 판별기준은 단순히 심박 장.단기 변이도 및 심박 가.
감속 변이도 등에 한정돼 있어 판독 정확성이 의문시되곤 했다.
또 육안 또는 컴퓨터로만 판별해 측정하는 사람에 따라 해석이 다르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태아 장기를 감별해 내는데는 역부족이었다.
이번 프로그램의 개발로 증가 추세에 있는 저체중 태아,태내 사망
가능성이있는 태아 등 위험도가 높은 신생아 출산을 예견,조기 치료하
는데 획기적으로 기여할수 있을 전망이다.
문병환 기자 moon@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11일자 ).
있는 길이 열렸다.
한양대 의대 염명걸 교수팀은 태아 심박수의 변화를 측정해 태아
건강상태 및 질병진단의 새로운 지표로 사용할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한양대 구리병원과 서울병원에 입원한 산모 1천여명을 대
상으로 임신 20주 이후의 태아 심박수를 이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정
확한 결과치를 얻어냈다.
태아의 심박수는 혈관 호흡 혈관운동중추 호흡중추 체온조절중추 교감
신경 등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다.
이번에 나온 소프트웨어는 정상 및 병적인 태아의 심박수를 컴퓨터로
측정,디지털 방식으로 컴퓨터에 전송한 다음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태
아 심박수 변화를 카오스적 분석을 통해 감별해내는 방식이다.
심박수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태아의 장기가 선형적.비선형적.불규칙형.
조합형 등 다양한 형태를 띤다는 사실에 착안한 것이다.
그동안 태아 질병 판별기준은 단순히 심박 장.단기 변이도 및 심박 가.
감속 변이도 등에 한정돼 있어 판독 정확성이 의문시되곤 했다.
또 육안 또는 컴퓨터로만 판별해 측정하는 사람에 따라 해석이 다르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태아 장기를 감별해 내는데는 역부족이었다.
이번 프로그램의 개발로 증가 추세에 있는 저체중 태아,태내 사망
가능성이있는 태아 등 위험도가 높은 신생아 출산을 예견,조기 치료하
는데 획기적으로 기여할수 있을 전망이다.
문병환 기자 moon@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1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