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현재 남자 1, 여자 2로 시작되는 주민등록번호 후반부 첫번호를 200
0년 이후 출생자에게는 남자 3, 여자 4 자로 부여, 현재의 주민등록번호와
구분키로 했다.

정부는 컴퓨터 2000년 표기방법과 관련, 주민등록번호, 의료보험관리번호,
외국인등록번호 등 주요 공공번호의 일부 코드를 바꾸는 방식으로 1900년대
와 2000년대를 구분키로 하고 이같은 개정 코드체계를 정부 각 부처와 산하
기관 및 주요 민간기업에 통보, 사용토록했다고 10일 밝혔다.

국무조정실이 확정한 연도표기 관련 코드는 연도의 경우 주민등록번호와
의료보험관리번호처럼 현재와 같이 끝 두자리를 그대로 사용하되,성별코드
등을 고쳐 연대를 구분하는 방식을 주로 따랐다.

또 병무청이 관리하는 병역의무대상자 국외여행허가번호의 경우 현재 끝의
두자리만을 쓰는 연도표기 대신 네자리 전부를 표시, 연대를 확실히 구분토
록 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번에 2000년대 표기문제 해결을 위해 코드체계가 개정된 공공번호는 주민
등록번호와 의료보험관리번호외 의료인면허취득일 표시, 의료보호증번호, 국
외여행허가번호, 철도회원번호, 외국인신용등록번호, 해운항만사업자번호,
관세환급거래번호, 국가기술자격취득자등록번호 등 17개 기관에서 작성하는
83개다. 이성구 기자 sklee@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1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