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의 부실채권 분류 기준에 대한 국제 통일안이 올 연말까지 마련돼
내년중 시행될 전망이다.

국제금융업계 소식통들은 21일 국제금융협회(IIE)를 주축으로 아시아
유럽 미주 27개국 40개 민간은행들이 최근 "국제 부실채권 통일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실무작업반을 발족하고 작업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실무작업반은 이들 40개 은행의 대표들로 구성됐으며 연말까지 구체적인
안을 마련, 각국 금융당국에 제시할 계획이다.

작업반은 부실채권 기준이 엄격한 미국방식을 토대로 국제통일기준을
만들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기준이 마련되면 국제사회는 여기에 맞춰 부실채권규모를 산정하고
은행의 건전성 여부를 판정하게 되므로 은행권의 여신관행에 일대 변화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 국제통일기준은 원칙적으로 구속력없는 권고사항으로 내년부터
IIF회원사를 중심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IIF는 그러나 각국 협조를 얻어 이 기준에 구속력을 부여한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기준이 국제사회의 강제적인 규범이 될 가능성도 있다.

IIF는 미국 워싱턴에 있는 국제 민간금융단체로 약 2백50개의 각국
민간상업은행들을 회원사로 두고 있다.

소식통들은 국제 통일기준 설정작업의 핵심은 불량채권의 정의를 통일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기준의 토대가 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는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의
불량채권기준은 <>미수 이자가 발생했으나 장부에 계상되지 않고있는 채권
<>원금상환이 90일이상 연체된 채권 <>상환일정과 조건이 재조정된 채권
<>잠재적으로 문제가 있는 채권 등이다.

한편 미국 은행들은 불량채권을 자체적으로 산정해 공표하고 있는 반면
유럽에서는 불량채권 분류 기준이 없는 나라도 있고 불량채권 공시도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에서는 미국이 "잠재적으로 문제가 있는 채권"으로 분류하는 것과
유사한 "요주의 채권(회색채권)"을 불량채권으로 분류할 것이냐는 문제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또 요주의 채권에 대한 은행의 손실준비율이 일본에서는 기껏해야
채권액의 5%에 그쳐 미국(15%)보다 훨씬 낮다.

아시아에서는 불량채권의 기준을 분명히하거나 불량채권을 공시하는
일이 지지부진한 상태다.

다만 외환위기를 겪고 있는 한국 태국 말레이시아등 일부 국가들이
미국방식을 원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 미국방식과는 상당한 괴리가 있어 은행의 부실채권 규모를
놓고 서방측과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2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