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사태가 타협으로 가닥을 잡아감에 따라 최대 쟁점이었던
정리해고가 다른 대기업에 어떤 규모로 파급될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정리해고제도는 지난 2월 노사정대타협으로 법제화된지 6개월이 지나도록
아직 제도적으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대기업들은 현대자동차의 눈치를 보면서 정리해고실시를 미루어 왔기
때문이다.

지난 18일 현재 노동부에 현재 정리해고를 실시하겠다고 신고한 기업은 총
81개 기업에 대상인원은 8천3백39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가운데 정작 정리해고를 실시한 기업은 35개사 2천6백84명에 불과하다.

20개사 3천6백32명은 위로금지급등으로 명예퇴직 또는 희망퇴직형태로
사직처리됐다.

13개사 1천5백18명에 대해서는 노사간 협의가 진행중이다.

그러나 13개사 5백5명에 대해서는 회사가 정리해고 신고를 철회했다.

이들 기업 가운데 종업원 1천명이상인 대기업은 그나마 현대자동차,
세진컴퓨터랜드 2곳뿐이다.

국내 노사관계 관행에서 정리해고가 힘든 것인가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특히 대기업들은 현대자동차의 정리해고과정을 예의 주시하며 앞으로
실시할 정리해고의 잣대로 활용할 계획이다.

그러나 노동부 관계자는 "이번 현대자동차 사태로 정리해고의 벽이 얼마나
높은지가 여실히 나타났다"며 "앞으로 대기업의 대량정리해고는 더욱 더
힘들어지게 됐다"고 전망했다.

< 김광현 기자 kk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2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