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회의산업 급성장 .. 올 130건...직접경제효과 1억달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나라의 국제회의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국제회의 개최건수는 90년대들어 연간 30~40%씩 증가, 지난 한햇동안
95건의 국제회의가 국내에서 열렸다.
이는 세계에서 25번째로 많은 것이다.
올해는 개최건수가 1백30건에 이를 것으로 업계에선 예상하고 있다.
국제회의연합(UIA)은 국제회의를 회의기간 3일이상,참가국 5개국및 참가자
3백명이상, 참가자중 외국인 40% 이상의 행사로 규정하고 있다.
이 기준에 따른 최소규모 국제회의를 개최하는데 필요한 경비는 약
2억2천만원.
이에 따라 올해 국내에서 1백30건의 국제회의를 여는데 드는 비용은
3백억~5백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국제회의개최에 따른 직간접 경제적 효과는 이보다 훨씬 크다.
산업연관분석기법에 따른 직접 경제효과(참가자및 주최측 지출액 합계)는
올해 1억달러(1천3백억원)를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회의에 참석하기위해 입국하는 외국인이 4만여명, 이들이 숙식과
관광에 지출하는 경비가 일인당 2천달러(96년기준)라는 자료에 근거해
산출한 것이다.
국제회의는 또 고용 생산 소득 세입 부가가치창출효과 등 간접적으로도
높은 경제효과를 유발한다는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문화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관광진흥기금 일부를 국제회의유치 단체에
지원, 오는 2002년 2백건이상의 국제회의를 국내에 유치할 방침이다.
국제회의대행업체 코밴인터내셔날 김경옥 사장은 "국제회의산업은
부가가치가 높은 문화산업"이라며 "국제회의 유치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크게 늘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유재혁 기자 yooj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24일자 ).
국제회의 개최건수는 90년대들어 연간 30~40%씩 증가, 지난 한햇동안
95건의 국제회의가 국내에서 열렸다.
이는 세계에서 25번째로 많은 것이다.
올해는 개최건수가 1백30건에 이를 것으로 업계에선 예상하고 있다.
국제회의연합(UIA)은 국제회의를 회의기간 3일이상,참가국 5개국및 참가자
3백명이상, 참가자중 외국인 40% 이상의 행사로 규정하고 있다.
이 기준에 따른 최소규모 국제회의를 개최하는데 필요한 경비는 약
2억2천만원.
이에 따라 올해 국내에서 1백30건의 국제회의를 여는데 드는 비용은
3백억~5백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국제회의개최에 따른 직간접 경제적 효과는 이보다 훨씬 크다.
산업연관분석기법에 따른 직접 경제효과(참가자및 주최측 지출액 합계)는
올해 1억달러(1천3백억원)를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회의에 참석하기위해 입국하는 외국인이 4만여명, 이들이 숙식과
관광에 지출하는 경비가 일인당 2천달러(96년기준)라는 자료에 근거해
산출한 것이다.
국제회의는 또 고용 생산 소득 세입 부가가치창출효과 등 간접적으로도
높은 경제효과를 유발한다는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문화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관광진흥기금 일부를 국제회의유치 단체에
지원, 오는 2002년 2백건이상의 국제회의를 국내에 유치할 방침이다.
국제회의대행업체 코밴인터내셔날 김경옥 사장은 "국제회의산업은
부가가치가 높은 문화산업"이라며 "국제회의 유치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크게 늘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유재혁 기자 yooj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2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