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서비스 빅뱅] 꿈의 통신 'IMT-2000' : 2002년부터 가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에서 IMT-2000 서비스는 오는 2002년께부터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IMT-2000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정부및 민간기업들의 계획은 오는
2002년 월드컵경기를 기점으로 본격 서비스에 나선다는 것.
예정대로 서비스가 이뤄질 경우 가입자들은 월드컵 경기장에 가지 않아도
이동전화 단말기 액정화면을 통해 생생한 경기장면을 즐길 수 있게 된다.
현재 국내 IMT-2000 개발은 두개의 컨소시엄이 주축이 돼 진행되고 있다.
그중 하나는 지난 97년 1월 발족된 차세대이동통신개발협회.
정부가 주도하는 이 협회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등 모두 60개
기업및 연구소가 참여하고 있다.
정부출연금 3백15억원을 포함해 6백30억원이 개발비로 배정돼 있다.
IMT-2000의 표준안 마련과 미국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W-CDMA)방식인
동기식 시스템 개발을 추진중이다.
다른 하나는 지난 3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주축으로 구성된
비동기식 W-CDMA 연구개발단이다.
여기에는 SK텔레콤 LG텔레콤등 대기업 7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오는 2000년 6월까지 비동기식 표준모델을 개발하고 2002년부터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두 컨소시엄이 각기 다른 방식의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것은 미국식과
유럽.일본식가운데 어느 방식이 IMT-2000 표준기술로 채택되더라도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IMT-2000은 차세대 이동통신의 총아로 불리는 만큼 국내 관련기업들간의
기술개발 경쟁도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해 발족된 IMT-2000개발본부를 중심으로 개발을
진행중이다.
연간 3백억원을 투자해 동기및 비동기식을 모두 개발한다는 전략이다.
SK텔레콤은 내년 6월에 시제품을, 2001년까지는 상용시스템 개발을 끝낸
후 2002년 월드컵경기 개막시점부터 상용서비스에 들어갈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1월 IMT-2000연구단을 발족한 후 표준기술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연구인력은 3백여명으로 연간 3백억~4백억원의 연구비를 투자할
계획이다.
최근에는 미국 기업들이 주축이 된 CDMA-1그룹에 가입,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표준화 작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LG정보통신도 전자 텔레콤등 계열사 연구인력을 모아 지난 3월
차세대통신연구단을 발족했다.
LG정보통신은 IMT-2000 시스템과 단말기를, LG전자는 비동기식 단말기를,
LG반도체는 핵심부품을, LG정밀은 계측기를, LG텔레콤은 서비스규격과
테스트를 각각 담당하기로 했다.
이밖에 현대전자는 70여명의 연구인력을 가진 차세대 이동통신연구단이
주축이 돼 기술개발을 추진중이다.
지난 4월부터는 미국 퀄컴과 모토로라가 주도하는 북미그룹에 참여해
동기방식 표준규격과 기술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25일자 ).
IMT-2000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정부및 민간기업들의 계획은 오는
2002년 월드컵경기를 기점으로 본격 서비스에 나선다는 것.
예정대로 서비스가 이뤄질 경우 가입자들은 월드컵 경기장에 가지 않아도
이동전화 단말기 액정화면을 통해 생생한 경기장면을 즐길 수 있게 된다.
현재 국내 IMT-2000 개발은 두개의 컨소시엄이 주축이 돼 진행되고 있다.
그중 하나는 지난 97년 1월 발족된 차세대이동통신개발협회.
정부가 주도하는 이 협회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등 모두 60개
기업및 연구소가 참여하고 있다.
정부출연금 3백15억원을 포함해 6백30억원이 개발비로 배정돼 있다.
IMT-2000의 표준안 마련과 미국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W-CDMA)방식인
동기식 시스템 개발을 추진중이다.
다른 하나는 지난 3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주축으로 구성된
비동기식 W-CDMA 연구개발단이다.
여기에는 SK텔레콤 LG텔레콤등 대기업 7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오는 2000년 6월까지 비동기식 표준모델을 개발하고 2002년부터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두 컨소시엄이 각기 다른 방식의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것은 미국식과
유럽.일본식가운데 어느 방식이 IMT-2000 표준기술로 채택되더라도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IMT-2000은 차세대 이동통신의 총아로 불리는 만큼 국내 관련기업들간의
기술개발 경쟁도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해 발족된 IMT-2000개발본부를 중심으로 개발을
진행중이다.
연간 3백억원을 투자해 동기및 비동기식을 모두 개발한다는 전략이다.
SK텔레콤은 내년 6월에 시제품을, 2001년까지는 상용시스템 개발을 끝낸
후 2002년 월드컵경기 개막시점부터 상용서비스에 들어갈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1월 IMT-2000연구단을 발족한 후 표준기술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연구인력은 3백여명으로 연간 3백억~4백억원의 연구비를 투자할
계획이다.
최근에는 미국 기업들이 주축이 된 CDMA-1그룹에 가입,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표준화 작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LG정보통신도 전자 텔레콤등 계열사 연구인력을 모아 지난 3월
차세대통신연구단을 발족했다.
LG정보통신은 IMT-2000 시스템과 단말기를, LG전자는 비동기식 단말기를,
LG반도체는 핵심부품을, LG정밀은 계측기를, LG텔레콤은 서비스규격과
테스트를 각각 담당하기로 했다.
이밖에 현대전자는 70여명의 연구인력을 가진 차세대 이동통신연구단이
주축이 돼 기술개발을 추진중이다.
지난 4월부터는 미국 퀄컴과 모토로라가 주도하는 북미그룹에 참여해
동기방식 표준규격과 기술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2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