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25일 부분조업에 들어갔다.

그러나 최대 협력업체인 만도기계 노동조합이 회사측의 정리해고 방침에
반발, 무기한 전면파업에 나서 완전가동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

재계 관계자는 정부가 현대 파업때처럼 노조의 불법을 계속 방치한다면
산업현장의 마비현상은 불가피하다며 엄정한 법집행을 촉구하고 있다.

만도기계 노조는 지난 17일부터 벌여온 전면파업을 무기한 연장키로 했다고
25일 밝혔다.

노조측은 "사측이 인위적인 감원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며 "24일 열린 노사협상에서 오히려 1천90명을 정리해고하겠다고
통보해와 파업을 무기한 계속키로 했다"고 말했다.

회사측은 "최악의 경영상태를 제한적인 자구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협상에서 유휴인력에 대한 고용조정을 논의해보자는 것 자체
를 노조가 회피하고 있어 회사도 물러설 수 없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회사측은 "이미 노조가 9일째 불법파업을 벌이고 있으나 정부는 불법에
대한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며 "불법이 계속 용인되는한 로스차일드
로부터 받기로한 브릿지론 등 외자유치에도 심각한 차질이 초래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경총 조남홍부회장은 "현대사태 수습과정에서처럼 산업 현장의 불법을 계속
방치한다면 기업들의 구조조정은 더이상 기대할 수 없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 김판곤 인사총무본부장은 "정부는 현대사태가 대화로 해결
됐다지만 당장 협력업체로 불법파업의 불길이 번져 다시 피해를 주고 있지
않느냐"며 "정부도 법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것을 몸소 보여줘야 할 때"
라고 강조했다.

만도의 불법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현대는 공장을 돌려도 다시 1주일만에
가동을 멈출 수밖에 없다.

만도가 현대에 전장 브레이크 스티어링 공조부품을 납품하고 있다.

만도노조의 임두혁 대외협력국장은 "노조도 파국을 원치 않으며 재고도
충분하다"며 "만도노조의 파업이 아직 경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또 노조는 협상을 회피하고 있다는 회사측 주장은 잘못된 것이라고 강조
했다.

< 김정호 기자 jhki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2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