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입찰추진사무국이 입찰참가업체들에 대해 각사가 제시한 부채탕감등
부대조건을 명확히 해달라고 요청, 부대조건의 철회여부가 기아 및 아시아
자동차 낙찰자 선정의 중요 변수로 떠올랐다.

그러나 일부업체들이 기아 입찰사무국의 이같은 요청에 대해 불공정입찰이
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입찰사무국은 현대 대우 삼성 포드자동차등 4개 응
찰업체에 이날 정오까지 부대조건의 의미를 서류로 명확히 설명해 달라고 요
청했다.

입찰참가 업체의 한 관계자는 "부대조건을 들어주지않으면 인수하지않겠다
는 것인지, 부대조건은 단지 희망사항인지를 분명히 해달라는 것이어서 조건
철회여부에 따라 낙찰자가 좌우될 것"이라고 말했다.

입찰사무국의 요청에 대해 4개 응찰업체중 삼성을 포함한 1~2개 업체는 조
건 철회여부를 밝혔으나 나머지는 "제출한 서류를 수정할 의사가 없다"며 조
건을 철회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알려졌다.

입찰추진사무국은 그동안 입찰조건을 단 회사들은 탈락하게 된다는 원칙을
누차 밝힌 적이 있어 이번에 조건을 철회하지 않은 회사들은 당연히 탈락하
게 된다.

따라서 기아 입찰은 조건을 철회한 업체들간의 경쟁으로 돌변, 단독응찰 또
는 2파전 양상으로 바뀌게 됐다.

그러나 조건을 철회하지 않은 업체들은 입찰사무국의 추가 서류 요청이 불
공정하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한 응찰업체 관계자는 "모든 업체들이 부채원금 탕감등의 조건을 내걸었는
데 이를 철회할 것을 요청한다는 자체가 입찰관행에서 벗어난다"며 "낙찰자
를 낸다해도 입찰 공정성 문제는 반드시 제기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호 기자 jhkim@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2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