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면톱] 기관들 해외채권에 관심 .. 외평채 등 적극 매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은행 투자신탁 생명보험사 등 국내 기관투자가들이 해외채권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다.
시중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 국내 채권투자 매력이 사라지자 정부가
발행한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등 해외 고수익상품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금융계 일각에선 이같은 경향이 확대될 경우 국내 달러가 해외로
대거 유출되는 사태도 올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은행 관계자들은 31일 "투신 생보 증권등 기관투자가들이 해외투자에 따른
환위험을 피하기 위해 헤지거래에 관해 집중적인 문의를 하고 있다"며 "국내
금리와 해외금리차가 좁혀지면서 생긴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기관들은 국내채권을 살 경우 연 12% 금리를 얻지만 해외채권을 매입하면
최대 연 18~20%의 수익률을 낼 수 있다고 판단, 이처럼 투자하고 있다고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예를들어 연 15%짜리 외평채를 사면 국내투자보다 당장 3%포인트이상
수익을 더 얻을 뿐더러 달러현물을 사고 선물을 파는 환위험헤지과정에서
현.선물환가격차로 인해 4~5%포인트를 챙긴다는 것이다.
국내기관들이 주로 투자하는 대상은 <>외평채 <>한국계은행이 발행한
FRN(변동금리부채권) <>신흥시장발행 고수익채권 등이다.
기관들은 특히 비밀보장을 이유로 외국계은행 국내지점 등과 헤지거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계자들은 "정확한 집계는 어렵지만 최근들어 해외채권에 투자한 자금은
줄잡아 5억달러는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 관계자는 "외환자유화, 국내저금리, 신흥국발행 채권금리급등의 변수가
복합적으로 맞아 떨어졌기 때문에 가능하다"며 "그러나 법적인 규제가 없기
때문에 활성화될 경우 외화유출이 상당히 일 것으로 걱정된다"고 지적했다.
일부에선 정부가 창구지도를 통해서라도 막지않으면 국내 환율 또한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대해 한국은행 관계자는 "제2금융기관들이 투자하는 것에 관해 파악
하기가 여의치 않다"고 전제하면서도 "그같은 투자패턴이 충분히 가능해
현황을 파악하는 차원에서 조사해 볼 방침"이라고 말했다.
< 이성태 기자 steel@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1일자 ).
올리고 있다.
시중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 국내 채권투자 매력이 사라지자 정부가
발행한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등 해외 고수익상품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금융계 일각에선 이같은 경향이 확대될 경우 국내 달러가 해외로
대거 유출되는 사태도 올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은행 관계자들은 31일 "투신 생보 증권등 기관투자가들이 해외투자에 따른
환위험을 피하기 위해 헤지거래에 관해 집중적인 문의를 하고 있다"며 "국내
금리와 해외금리차가 좁혀지면서 생긴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기관들은 국내채권을 살 경우 연 12% 금리를 얻지만 해외채권을 매입하면
최대 연 18~20%의 수익률을 낼 수 있다고 판단, 이처럼 투자하고 있다고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예를들어 연 15%짜리 외평채를 사면 국내투자보다 당장 3%포인트이상
수익을 더 얻을 뿐더러 달러현물을 사고 선물을 파는 환위험헤지과정에서
현.선물환가격차로 인해 4~5%포인트를 챙긴다는 것이다.
국내기관들이 주로 투자하는 대상은 <>외평채 <>한국계은행이 발행한
FRN(변동금리부채권) <>신흥시장발행 고수익채권 등이다.
기관들은 특히 비밀보장을 이유로 외국계은행 국내지점 등과 헤지거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계자들은 "정확한 집계는 어렵지만 최근들어 해외채권에 투자한 자금은
줄잡아 5억달러는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 관계자는 "외환자유화, 국내저금리, 신흥국발행 채권금리급등의 변수가
복합적으로 맞아 떨어졌기 때문에 가능하다"며 "그러나 법적인 규제가 없기
때문에 활성화될 경우 외화유출이 상당히 일 것으로 걱정된다"고 지적했다.
일부에선 정부가 창구지도를 통해서라도 막지않으면 국내 환율 또한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대해 한국은행 관계자는 "제2금융기관들이 투자하는 것에 관해 파악
하기가 여의치 않다"고 전제하면서도 "그같은 투자패턴이 충분히 가능해
현황을 파악하는 차원에서 조사해 볼 방침"이라고 말했다.
< 이성태 기자 steel@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