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딜주' 대부분 매수청구 가능..개별종목 득실 세밀히 점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대그룹간 빅딜이 모습을 드러낸 3일 주식시장에서 빅딜관련 기업의
주가는 다양한 반응을 나타냈다.
과잉중복투자 해소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이 있는가
하면 오히려 하락하는 종목도 나왔다.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에게 개별종목의 득실을 세밀히 따져 매수청구권 행사
여부를 저울질하라고 조언하고 있다.
<> 빅딜관련기업 주가움직임 =LG반도체는 1만1천50원으로 상한가까지
치솟았다.
반면 LG반도체와 합치는 현대전자는 주가가 상대적으로 높아 보합세를
지키는데 그쳤다.
현대정유에 매각되는 한화에너지는 오히려 하락했다.
항공의 경우 단일법인으로 설립되는 삼성항공은 소폭 올랐지만
대우중공업은 보합세였다.
<> 지분구조 =빅딜관련 기업은 대주주의 비중이 소액투자자보다 평균 3배
가까이 높은 편이다.
현대전자와 LG반도체는 지난해말 현재 대주주 지분율이 각각 85.42%,
69.55%에 달해 소액투자자 비중보다 최고 9배이상 높았다.
대우중공업은 대우가 45.51%로 지분이 가장 많고 소액투자자들은 19.36%의
지분만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한진중공업은 대주주인 대한항공의 지분율이 32.50%에 불과해
소액투자자들의 44.86%보다 낮았다.
<> 주식매수청구권 =빅딜관련 기업에 대해 일반투자자들은 대부분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을 것 같다.
두 회사가 단일법인으로 합쳐진다 하더라도 중요영업부문을 양도하는
형태여서 주총상 특별결의사항에 해당, 매수청구권 행사 대상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증권거래소는 빅딜과 관련해 주식매수청구가격을 <>대우중공업 5천3백25원
<>삼성중공업 8천1백92원 <>한진중공업 5천6백61원 <>삼성항공 3천7백59원
등으로 추정했다.
또 <>현대정공은 3천4백1원 <>한화에너지 3천2백55원 <>현대전자
2만5천1백75원 <>LG반도체 1만1천2백27원등으로 예상했다.
거래소에 따르면 3일종가보다 예상매수청구가격이 높은 종목은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삼성중공업 LG반도체등이다.
그러나 관련기업들이 빅딜의 법적절차를 밟는 과정에서 일반 투자자들이
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는 경우도 생겨날 것으로 증권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벌써부터 한화에너지 관계자는 "대주주 지분매각 형태로 빅딜이 진행되기
때문에 주총의결을 거칠 필요가 없으며 자연히 매수청구권도 없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증감원 관계자는 "빅딜이 구체화된 이후에라야 어느 회사에
대해 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없는지가 드러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 박준동 기자 jdpowe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4일자 ).
주가는 다양한 반응을 나타냈다.
과잉중복투자 해소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이 있는가
하면 오히려 하락하는 종목도 나왔다.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에게 개별종목의 득실을 세밀히 따져 매수청구권 행사
여부를 저울질하라고 조언하고 있다.
<> 빅딜관련기업 주가움직임 =LG반도체는 1만1천50원으로 상한가까지
치솟았다.
반면 LG반도체와 합치는 현대전자는 주가가 상대적으로 높아 보합세를
지키는데 그쳤다.
현대정유에 매각되는 한화에너지는 오히려 하락했다.
항공의 경우 단일법인으로 설립되는 삼성항공은 소폭 올랐지만
대우중공업은 보합세였다.
<> 지분구조 =빅딜관련 기업은 대주주의 비중이 소액투자자보다 평균 3배
가까이 높은 편이다.
현대전자와 LG반도체는 지난해말 현재 대주주 지분율이 각각 85.42%,
69.55%에 달해 소액투자자 비중보다 최고 9배이상 높았다.
대우중공업은 대우가 45.51%로 지분이 가장 많고 소액투자자들은 19.36%의
지분만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한진중공업은 대주주인 대한항공의 지분율이 32.50%에 불과해
소액투자자들의 44.86%보다 낮았다.
<> 주식매수청구권 =빅딜관련 기업에 대해 일반투자자들은 대부분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을 것 같다.
두 회사가 단일법인으로 합쳐진다 하더라도 중요영업부문을 양도하는
형태여서 주총상 특별결의사항에 해당, 매수청구권 행사 대상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증권거래소는 빅딜과 관련해 주식매수청구가격을 <>대우중공업 5천3백25원
<>삼성중공업 8천1백92원 <>한진중공업 5천6백61원 <>삼성항공 3천7백59원
등으로 추정했다.
또 <>현대정공은 3천4백1원 <>한화에너지 3천2백55원 <>현대전자
2만5천1백75원 <>LG반도체 1만1천2백27원등으로 예상했다.
거래소에 따르면 3일종가보다 예상매수청구가격이 높은 종목은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삼성중공업 LG반도체등이다.
그러나 관련기업들이 빅딜의 법적절차를 밟는 과정에서 일반 투자자들이
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는 경우도 생겨날 것으로 증권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벌써부터 한화에너지 관계자는 "대주주 지분매각 형태로 빅딜이 진행되기
때문에 주총의결을 거칠 필요가 없으며 자연히 매수청구권도 없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증감원 관계자는 "빅딜이 구체화된 이후에라야 어느 회사에
대해 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없는지가 드러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 박준동 기자 jdpowe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