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북한관광은 기존 관광문화와는 다른 이질적인 요소가 많아 사전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주한 유럽(EU) 상공회의소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제시한 북한
관광시 유의사항을 알아본다.
<>환율=북한은 고정환율을 채택하고 있다.
공식환율(매도환율)은 달러당 2.24(조선)원.
전신환 매입환율은 2.14원.
일반적으로 달러를 내면 원화대신 "돈표"를 받는다.
이 돈표를 가지고 외국인 전용상점에서 상품을 구입하거나 호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북한내 대다수 호텔에서 국내 또는 미국은행이 발행한 신용카드는 사용할
수 없다.
<>팁=통상적으로 북한 관광 안내원이나 운전사는 팁을 받지 않는다.
이같은 행위가 뇌물수수 행위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식사를 같이 하는 정도는 무방하다.
<>쇼핑=외국인을 위한 상점에서 쇼핑할 수 있다.
이 곳에서 환전도 가능하다.
외국화폐를 사용할 수 있는 상점이 모든 도시에 있으나 찾기 어렵다.
따라서 안내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게 좋다.
<>통관수속=한국에서 나갈때 반출물품에 대한 관세는 물리지 않는다.
그러나 한국산 제품 및 선물의 북한 반입은 되도록 자제해야 한다.
북한 출입국때는 간단한 통관절차를 거쳐야 한다.
일반적으로 캠코더와 카메라 등은 아무런 문제없이 휴대할 수 있다.
<>호텔과 고속도로=금강산에는 현재 호텔이 1개밖에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숙박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현대측은 유람선 안에서 4박5일간 숙식을 제공할 예정이다.
<>여권.비자=이번 금강산관광은 특수지역관광으로 규정된 만큼 여권이나
비자를 발급받을 필요가 없다.
현대가 관광객 명단을 북한측에 통보하고 북한측이 이를 확인하는 것으로
비자발급 절차를 대신하게 된다.
다만 비자발급 수수료는 북한측에 지불되며 이 금액은 관광요금에 포함된다.
<>통신=현대는 유람선 안에서 공중전화를 통해 남쪽의 가족과 통화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단 위성을 통한 공중전화를 설치하는데는 3~4개월이 걸리므로 주파수
공용통신(TRS)와 워키토키가 임시 통신방법으로 활용될 계획이다.
< 유병연 기자 yooby@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