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장기신용은행은 합병에 따른 시너지(상승)효과가 가장 큰 조합
으로 평가되고 있다.

기왕에 합병을 선언한 상업+한일이나 하나+보람의 경우 업무영역이 비슷한
은행간 짝짓기다.

그러나 국민+장은은 성격이 다른 두 은행이 합치는 것이다.

국민은 소매금융에, 장은은 도매금융에 각각 특화돼 있는 것.

<> 은행산업 어떻게 달라지나 =은감원의 공식자료에 따르면 국민+장은의
총자산규모는 6월말현재 97조원.

상업+한일(96조원)보다 규모가 더 크다.

자기자본은 3조7천원으로 상업+한일의 2조7천억원보다 1조원가량 많다.

하나+보람의 1조3천억원보다는 2조원이상 크다.

명실공히 국내 1위 은행으로 올라서는 셈이다.

말그대로 슈퍼뱅크가 된다.

국민+장은은 더구나 합병후 곧바로 외국자본을 유치한다는 구상이다.

외자유치는 거의 마무리 단계에 와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장은의 이같은 위상은 리딩뱅크 싸움을 가속화하는 계기로 작용할
전망이다.

얼마든지 개별적으로 외자를 유치할 수 있는 두 은행이 합병을 선택한데는
리딩뱅크가 되지 않고는 생존하기 버겁다는 현실인식이 깔려 있다.

일단 국민+장은이 상업+한일과 겨루는 양상이 형성돼 있지만 곧이어 조흥
외환은행이 짝을 찾아 가담할게 뻔하다.

국민은행의 최대 라이벌이었던 주택은행도 손놓고 있을 수 만은 없게 됐다.

그러나 갈수록 합병할 수 있는 대상(Pool)은 좁아지고 있다.

서둘지 않으면 낙오되기 십상이다.

그래서 국민+장은은 제4,제5의 은행합병을 연쇄 폭발시킬 것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 그간의 진행상황및 향후절차 =지난 5월 장기신용은행이 먼저 제의
함으로써 이뤄졌다.

IFC(국제금융공사)로부터 실사를 받는 과정에서 합병을 피할 수 없는 대안
으로 수용케됐다는 후문이다.

당시 장은은 행장직속으로 전략제휴팀을 구성, 합병에 나섰다.

국민은행은 당초 주저했으나 정부로부터 외환은행과 합치라는 종용을 받자
조금씩 마음을 바꾸기 시작했다.

그러다 합병논의가 급진전된 것은 경영진단이 마무리된 지난 8월말.

생각보다 나쁘게 나온 경영성적표를 보고 국민은행이 콧대를 꺾었다는 것.

두 은행은 하나+보람과 마찬가지로 내년 1월4일 합병은행을 출범시킨다는
계획이다.

시일이 촉박하긴 하지만 금융산업구조개선법 통과로 일정을 단축할 수 있게
돼 큰 문제는 없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두 은행이 넘어야할 산은 많다.

먼저 장은에 대해 인가권을 갖고있는 재경부가 어떤 입장을 보이느냐다.

정부가 합병은행에 얼마를 지원해 줄지도 관심사다.

이는 두 은행이 가장 신경쓰는 부분이다.

만약 정부로부터 제대로 지원받지 못하면 장은의 부실채권을 처리하기가
문제이기 때문.

또 장은의 10배가 넘는 직원을 갖고 있는 국민은행이 노조의 반발을
무릅쓰고 대규모 감원을 쉽게 진행할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 조흥 외환은행 움직임 =국민은행과 장기신용은행이 전격 합병에 합의
함으로써 조흥은행과 외환은행이 가장 다급해졌다.

조흥은행은 내심 장기은행을, 외환은행은 국민은행을 염두에 두어 왔기
때문이다.

두 은행은 이달중, 늦어도 정부가 못박은 10월까지는 합병을 성사시키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운신의 폭은 아주 좁다.

주택 제일은행을 잡든지, 상호합병하는 길밖에 없다.

주택은행은 김정태 행장이 "시간을 갖고 합병을 생각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당장은 힘들다.

두 은행은 내심 제일은행을 염두에 두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오는 11월15일까지 이 은행을 매각한다는 일정을 바꿔야
한다는게 부담이다.

결국 남는 건 상호합병뿐이다.

문제는 코메르츠은행의 태도다.

이에대해 조흥은행은 코메르츠가 합병에 동의하면 언제든 외환은행과
합병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외환은행도 비슷한 자세다.

두 은행은 상호합병이라는 외길수순에 몰리고 있다.

< 하영춘 기자 hayoung@ 이성태 기자 steel@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1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