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속에서 컴퓨터가 돌아간다"

멀지않아 펜속에 컴퓨터가 내장돼 종이위에 글을 적거나 그림을 그리면 그
내용이 자동적으로 기억되고 인터넷을 통해 통신까지 할 수 있는 컴퓨터 펜이
나올 전망이다.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 복합공학연구소(ICES)는 최근 이같은 컴퓨터 펜의
개념설계를 완성했다.

이 컴퓨터 펜은 지금 쓰이고 있는 일반 필기구와 겉 모양이 다를게 없다.

펜촉도 달려 있다.

아무 곳에나 글을 쓸 수 있다.

식사를 하거나 거리를 걷다가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식당의 냅킨이나 식탁위,
아니면 손바닥에라도 메모하면 된다.

그러면 펜촉의 움직임이 문자정보로 인식돼 펜속의 컴퓨터에 입력된다.

글은 물론 약도나 도면을 그려도 마찬가지다.

"디자인 잉크"로 이름 붙여진 이 펜은 계산까지 한다.

이를테면 종이에 "1+1="을 쓰면 펜 손잡이에 부착한 화면에 "2"라는 숫자가
나타난다.

펜속의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전자우편으로 상대방 PC에 전달된다.

팩스도 보낼 수 있다.

물론 무선을 통해 이뤄진다.

셀룰러폰이 내장되기 때문이다.

자신의 PC에 연결해 쓸 수도 있다.

미국의 과학잡지 디스커버 최신호는 이 펜의 설계 내용과 작동원리를 자세히
소개했다.

안타깝지만 아직 이 펜은 개발이 끝나지 않았다.

개념 설계가 이뤄져 플라스틱 구리선 목재 등을 써서 모형을 제작한 단계다.

얼마전 이탈리아의 한 잡지가 이 펜의 개발스토리를 소개하면서 당장
실용화할 수 있는 것처럼 기사를 싣는 바람에 ICES 디자인 연구팀은 곤욕을
치러야 했다.

문제는 비싼 값을 주지 않고도 살 수 있는 이런 펜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이 컴퓨터 펜이 실용화 되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우선 컴퓨터가 소형화되고 있지만 펜 크기의 조그마한 장치에 메모리반도체
가속도계(센서) 무선통신장치 등을 모두 집적시킬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ICES 스티보릭 연구원은 "갈수록 빨라지는 전자제품의 소형화 추세를 감안
하면 기술적으로 이 문제는 해결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다"고 자신했다.

두번째 걸림돌은 센서의 정확성이다.

펜의 움직임은 공중에서도 일어난다.

예를 들어 글을 쓰다가 하품을 하면서 펜을 든 손을 움직일 수 있다.

글을 쓸 때의 움직임과 불필요한 동작을 가속도계의 센서가 구별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간단치 않다.

ICES 연구팀은 펜 뚜껑을 등대처럼 활용 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펜 뚜껑을 메모하는 종이의 한 귀퉁이에 꽂는다.

이 뚜껑과 펜의 센서가 서로 통신을 하는 것이다.

또 잉크가 실제 나올 때만 센서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센서는 동-서로, 남-북으로, 위-아래로의 움직임을 각각 감지하는 3개의
센서를 집적회로에 담는 형태로 제작 될 수 있다는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펜끝의 기울기와 펜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스코프도 필요하다.

이같은 기능의 가속도계는 아직 등장하지 않았다.

그러나 멀지 않아 개발될게 틀림없다.

이 펜은 인텔로부터 "앞으로 5~10년내에 등장할 컴퓨터의 모습을 디자인 해
줄 것"을 의뢰받은 ICES 연구팀이 내놓은 최종안 3개중 유일하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인텔은 이 펜의 디자인이 제시되기 수년전부터 실제 이같은 펜의 실용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몇가지 기술을 개발해왔기 때문이다.

인텔은 이 컴퓨터 펜의 실용화가 컴퓨터 소형화와 첨단 센서기술의 한단계
진보를 위한 돌파구를 마련해 줄 것으로 보고 있다.

펜 속에 들어가는 초소형 컴퓨터개발이 새로운 문명을 창출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연세대 전자공학과 김재희 교수는 "대량의 정보를 담을 수 있는 반도체가
핵심기술이 될 것"이라며 "4~5년내에는 실용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 오광진 기자 kjo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