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대한 외국기관들의 신용평가는 갈수록
악화되고 있어 여간 당혹스럽지 않다. 국제 신용평가기관들의 자료수집 능력
이나 평가방법 등에 문제가 적지 않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지만 이들의
평가에 따라 자금흐름이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영국의 경제전문지 유러머니 9월호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국가위험도(컨트리
리스크)는 평가대상 1백80개국 중 지난해 3월의 22위에서 같은해 9월에는
27위, 12월에는 30위로 하락한데 이어 이번 9월 조사에서는 34위로 다시
떨어져 외환위기 전후 1년반 사이에 12단계나 추락했다는 것이다.
또 한국의 향후 2년간 경제성장 속도에 대한 평가도 지난해말 41위에서
60위로 주저앉았다. 한마디로 한국경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평가가 현재는
물론, 앞으로 몇년동안도 그다지 밝지 않다는 얘기다. 특히 9개의 평가항목
중 최근 급상승한 가산금리부문과 단기자금가용성 등 주로 자금관련 항목의
점수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는 것은 문제의 핵심이 어디에 있는지를 말해준다.
뿐만 아니라 독일의 국제투명성기구(TI)에서 발표한 한국의 부패지수는
조사대상 85개국 중 96년 27위, 97년 34위, 98년 43위로 매년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뇌물수수 관행을 포함한 부패의
정도가 나날이 심해지고 있는 나라로 조롱받는다는 것은 설상가상의 고통이
아닐 수 없다.
이처럼 국가 신인도가 계속 추락하고 있다는 것은 해외에선 우리의 위기
극복 노력을 신뢰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IMF가 최근 연례
특별보고서에서 지적했듯이 금융기관과 기업의 구조조정 등 개혁조치가
불충분하다는 것이 외국의 일반적 시각인 것 같다.
사실 우리의 현실을 냉정히 살펴보면 해외의 평가가 왜 이처럼 인색한지
이해가 가는 측면이 없는 것도 아니다. 구조조정 주무부처인 금융감독위원회
는 이달말로 1차 구조조정을 마치고 다음달중 그 결과를 들고 외국에 나가
대규모 외국자본을 유치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9월이 다 가도록 완벽하게 구조조정을 끝낸 기업이나 금융기관은
단 한군데도 없다. 조건부승인 및 매각대상 9개 은행의 경우에서 보듯,
노조의 총파업 결의에 직면해 구조조정작업이 벽에 부딪치고 있는 현실이다.
지금 우리가 국가신인도를 높이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구조조정을 당초의
방향대로 일관성있고 신속하게 매듭짓는 것 밖에 없다. 경제운영이 정치
논리에 좌지우지되는 후진국적 폐습을 과감히 털어버리고 외국투자자들이
주시하는 노동문제 등에 대해서도 정부가 확고한 원칙을 지키는 일이 신뢰
회복의 지름길이 될 것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24일자 ).